/사진=이미지투데이
초등학교 6학년생 중 절반은 '교과서 속 금융∙경제 내용이 재미있으며 잘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5명 중 1명은 TV나 신문에 나오는 금융∙경제 관련 뉴스를 별 어려움 없이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안츠생명은 지난 4월 자사가 개최한 '제46기 초등학교 어린이 회장단 수련회'에서 참석한 초등학교 6학년 회장 169명을 대상으로 '용돈과 금융경제'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28일 알리안츠생명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초등학교 어린이 회장 중 35%가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는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과반 수 이상인 65%는 필요할 때마다 받거나 집안일을 도왔을 때, 명절 등의 특별한 날 받는다고 응답했다.


용돈을 안 받는 아이들을 포함해 한 달 평균 받는 돈의 액수는 '5만원 미만'이 78%로 가장 많았고 '5만원~8만원'과 '8만원~12만원'이 각각 3%씩 차지했다. 용돈에서 가장 많이 지출하는 항목은 32%를 차지한 간식비였으며 '저축', '책과 학용품'이 각각 28%, 18%로 그 뒤를 이었다.

'용돈을 어떻게 관리하는가'라는 질문에 '무조건 저축한다'가 30%, '지출 항목을 세우는 등 용돈관리 계획에 맞춰 소비한다'가 23%, '별도 계획은 없지만 용돈 기입장을 작성한다'가 22%인 반면 '즉흥적으로 소비한다'가 20%에 불과했다. 이는 전반적으로 아이들이 용돈을 아껴 쓰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 32%의 아이들이 '가정의 경제상황을 자세히 알고 있다'고 답했다. 56%는 '자세히는 아니지만 관심을 갖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른다'고 응답한 아이들은 9.5%에 그쳤다.


아이들이 본인의 명의로 보유하고 있는 금융상품은 '예금(15%)', '적금(15%)', '보험(11%)' 순으로 나타났으나 '모른다'고 응답한 아이들이 36%에 달했다.

아울러 이들 중 금융상품을 구입하고 유지하는 방법으로 '부모님의 지원(35%)'이 가장 많았고, '본인의 용돈에서 일부 충당하는 경우'가 18%, '상기 두 방법을 병행'하는 아이들이 19%였다. 대체로 금융상품 구입과 유지는 부모님이 아이들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