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사진=임한별 기자
한미약품이 호재성 공시와 악재성 공시를 연달아 내면서 주식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가운데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부당이익을 얻은 세력이 있는지 금융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과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는 한미약품의 공시 시점 논란이 불거진 지난달 30일 직후 이 회사에 대해 정밀 모니터링에 나섰다.

지난달 29일 오후 4시33분 한미약품은 세계 1위 바이오 제약사인 로슈의 자회사인 미국 제넨텍과 1조원 규모의 표적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을 했다고 공시했다. 이 소식에 힘입어 지난달 30일 5%가량 급등한 64만9000원에 장을 시작했다.


하지만 장 개시 후 29분 만에 한미약품은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표적 항암 치료제인 ‘올무티닙’의 기술수출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이에 주가는 불과 15분 사이에 50만4000원으로 20% 가까이 급락했다.

4일 오전에도 14%이상 폭락하면 한때 43만5000원까지 하락했다. 지난달 30일 호재 공시를 보고 시가에 한미약품 주식을 매입한 투자자는 불과 이틀 만에 30% 넘는 손해를 본 셈이다.

금융당국은 한미약품의 호재 공시 뒤 연이은 악재 공시로 주가가 출렁인 것과 관련해 내부자 거래가 있었는지를 집중 점검 중이다. 특히 지난달 30일 장 개시 후 계약해지 공시가 나오기 전 29분 사이 미공개정보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챙긴 세력이 있는지 조사 중이다.


실제 한미약품의 지난달 30일 공매도량은 10만4327주로 한미약품이 상장된 2010년 7월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올해 평균 공매도량(4850주)의 30배에 가까운 수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누가 언제 어떻게 얼마나 주식 거래를 했는지를 내부자와 투자자로 나눠 면밀히 살피고 있다"며 "공시의 적정성과 미공개정보 이용행위 등 불공정거래 여부에 대해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