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검찰에 따르면 최순실 의혹 검찰 특별수사본부(본부장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는 정 전 비서관 주거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그의 개인용 휴대폰 2개와 여러 대의 대포폰을 확보했다. 이 휴대폰에는 정 전 비서관이 박 대통령이나 최씨와 통화한 내용이 녹음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안 전 수석은 이날 박 대통령 공식행사 일정이 담긴 다이어리를 검찰에 제출했다. 이 다이어리에는 지난해 7월24~25일 박 대통령이 대기업 총수들을 만날 당시의 일정이 기록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박 대통령이 재벌총수와의 만남에서 미르·K스포츠재단 설립과 지원을 요구한 내용도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대기업에 자금 지원을 강요한 혐의로 구속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이 검찰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들어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박 대통령과 면담에 나선 대기업 총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본무 LG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인 것으로 알려진다.
검찰은 확보한 증거물과 안 전 수석, 전국경제인연합회 관계자 등의 진술을 토대로 박 대통령의 재단 모금 강요 지시가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 중이다.
이 과정에서 박 대통령과 면담을 한 재벌총수도 검찰에서 참고인 등의 신분으로 조사를 받게 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 검찰은 특별수사본부 내에 두 재단 설립 과정에서 자금을 낸 대기업 관련 수사를 위해 부부장 1명, 검사 2명으로 구성된 기업수사전담팀을 꾸리기도 했다.
검찰 관계자는 “총수들도 여러 제기되는 의혹 중 관련된 부분이어서 필요하다면 수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검찰 수사와 관련한 야권의 압박도 나날이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8일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재벌들이 거액의 돈을 낼 땐 단순히 강요뿐 아니라 일정한 대가를 기대하고 돈을 낸 정황이 있다”며 “정경유착 관련 의혹이 불거지고 있는 삼성·롯데·부영 그리고 SK 총수일가 사면 등 광복절 특사도 인과관계를 수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