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는 지하철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승객들이 기관사와 차장의 조치를 듣지 않고 스스로 탈출해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메트로에 따르면 22일 오전 6시28분쯤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에서 잠실새내역으로 진입하던 열차 2번째 칸 아랫부분에서 불이 났다.


지하철이 완전히 승강장에 진입하기 전에 발생한 이번 사고로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2호선 지하철 운행이 외선순환(잠실새내→잠실)은 약 40분, 내선순환(잠실→잠실새내)은 약 50분간 멈췄다.

22일 오전 서울지하철 2호선 잠실새내역에서 승강장에 진입하던 지하철 아랫부분에 화재가 발생해 역내에 연기가 가득한 모습. /사진=뉴스1

서울메트로와 탑승객의 발언을 종합하면 화재 발생 2분쯤 후 지하철에 탑승해 있던 차장은 “연기가 발생하고 있는데 확인조치 중이니 기다려 달라”는 내용의 1차 안내방송을 실시했다. 이어 차량을 세우고 어떤 상황인지를 확인하려던 순간 일부 승객들이 비상 코크를 조작해 스스로 차량 문과 스크린도어까지 열고 열차에서 빠져나갔다.
이에 대해 서울메트로 관계자는 “이날 오전 6시31분쯤 ‘연기가 발생했으니 출입문 밖으로 나가지 말고 안전한 차내에서 있어라’는 내용의 안내방송을 한 후 30초 내에 ‘열차 화재로 운행이 불가능하니 즉시 대피하라’는 2차 안내방송을 했다”며 “안내방송 후 기관사가 열차 밖으로 나오니 승객들 일부가 이미 자력으로 대피한 상태였다”고 전했다.

이어 “승객들이 비상탈출을 잘못해 선로로 가면 더 큰 사고가 날 수도 있다”며 “매뉴얼에 따라 사고 확인을 하고 비상탈출을 유도해야 하는데 시민들이 조바심이 나서 탈출을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