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대 금융위원장에 선임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취임식에서 생산적·포용적·신뢰 등을 기조로 한 정책을 펼칠 것을 다짐했다.
최종구 신임 금융위원장은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부채 확대로 단기적인 호황을 유도하는 '소비적 금융'은 더이상 바람직하지 않다"며 "생산적인 분야로 자금이 흘러가도록 해 성장 잠재력과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생산적 금융'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최 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을 실천하기 위해 가장 먼저 금융시스템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중소·벤처 등 혁신기업이 보유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충분한 자금을 원활히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금융시스템을 개선할 것"이라며 "정책금융부터 일자리 중심의 금융지원 체계로 개편하고 민간은행 등으로 점차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금융업도 새로운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는 고부가 산업이 될 수 있다"며 "새롭고 혁신적인 금융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출시되도록 하는 한편, 금융업 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또 '포용적 금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민금융은 우리 금융당국이 가장 잘하고 또한 가장 잘해야 하는 부분"이라며 포용적인 금융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융소비자를 호도해 쉬운 대출을 조장하는 부당한 광고나 권유는 금지할 것"이라며 "영세 취약계층 중에서 경제활동의 의지가 강한 이들에게는 별도의 배려를 할 수 있도록 정책서민금융을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최 위원장은 "'신뢰의 금융'을 구축해야 한다"며 "정부는 금융시장이 역동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은 낮추고 자율성은 최대한 보장하되, 금융사고 또는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그 책임을 엄중히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마지막으로 금융위원회 직원들에게는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태도, 금융 수요자와의 적극적인 소통,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는 "여러분들은 혹시 과거의 경험에 묶여 성공할 수 없다고 미리 단정하고 시도조차 하지 않은 것은 없는가"라고 반문하며 "우리 함께 희망을 걸어보자. 금융 덕분에 할 수 있도록 해보자"라고 독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