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머니S MNB, 식품 외식 유통 · 프랜차이즈 가맹 & 유망 창업 아이템의 모든 것
프랜차이즈 편의점 가맹본부와 가맹사업자의 갑을분쟁이 그치지 않는 가운데 가맹수수료 비율이 최대 7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이 공정거래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가맹점의 월 평균 매출 이익 대비 가맹수수료 비율은 15~70%였다.
편의점 중 G사는 20~65%, C사는 20~25%, S사는 15~70%로 나타났다. 가맹수수료가 70%라면 월 매출액에서 가맹 본사에 상품 매입 원가 약 70%를 납부한 후 남은 금액(매출 총 이익)을 가맹 본사와 점주가 일정 비율로 수익을 배분하게 된다.
반면 E사의 경우 창업모델에 따라 60만원, 110만원, 150만원의 월 회비를 내거나 상품 매입금의 15%로 가맹수수료를 납부하는 모델을 시행 중이다.
16일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이 공정거래위원회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가맹점의 월 평균 매출 이익 대비 가맹수수료 비율은 15~70%였다.
편의점 중 G사는 20~65%, C사는 20~25%, S사는 15~70%로 나타났다. 가맹수수료가 70%라면 월 매출액에서 가맹 본사에 상품 매입 원가 약 70%를 납부한 후 남은 금액(매출 총 이익)을 가맹 본사와 점주가 일정 비율로 수익을 배분하게 된다.
반면 E사의 경우 창업모델에 따라 60만원, 110만원, 150만원의 월 회비를 내거나 상품 매입금의 15%로 가맹수수료를 납부하는 모델을 시행 중이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