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수익형부동산 리서치기업 상가정보연구소에 따르면 올 1분기 서울 상가 평균 공실률은 소형 2.9%, 중대형 7.5%, 오피스 11.0%로 나타났다.
소규모 상가는 건축물대장상 주용도가 제1·2종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운동시설, 위락시설이고 연면적 50% 이상이 임대, 연면적 330㎡ 이하, 2층 이하인 건축물을 뜻한다.
서울 일부지역은 공실률이 0% 수준인 곳도 있었다. 공실률이 0%로 조사된 지역은 명동, 홍대, 합정, 건대입구, 서울역, 서초 등 18곳이다.
/사진=머니투데이
반면 신사역 소형상가 공실률은 18.2%로 가장 높다. 이어 논현역(9.3%), 사당(9.0%) 순으로 나타났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소형상가는 중대형 대비 임대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해 공실 위험에서 비교적 낮다"면서 "대형자본 진입에 의한 젠트리피케이션도 대부분 중대형상가에서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