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한국부동산원의 5월 넷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5%) 하락폭을 유지하며 -0.05%를 기록했다. 전세가격 변동률은 -0.08%로 지난주(-0.10%) 대비 하락폭을 줄였다./사진=뉴스1
26일 한국부동산원의 5월 넷째주(2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격은 0.05%, 전세가격은 0.08% 하락했다. 수도권(-0.01%→-0.02%)과 세종(0.22%→0.19%) 은 낙폭이 커졌고 5대광역시(-0.12%→-0.11%), 8개도(-0.08%→-0.06%)는 내림세가 완만해졌다.
서울은 지난주 -0.01% 하락에서 0.04포인트(p) 오른 0.03%를 기록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격회복 기대심리로 인해 주요 지역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 소진 후 추가 상승거래가 발생하며 전체적으로 상승 전환됐으나 일부 지역은 여전히 매도·매수 희망가격 격차로 인해 관망세를 보이며 하락세가 지속되는 등 지역별로 혼조세가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는 용산(0.04%)이 이촌·도원동 주요단지 위주로, 중구(0.03%)는 신당·황학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 거래가 발생하며 집값이 올랐다. 도봉(-0.07%)은 창·쌍문동 위주로 떨어지는 등 지역별로 차등적 양상을 나타냈다. 송파(0.26%)·강남(0.19%)·서초(0.13%)·강동(0.05%)은 매물 가격이 상향 조정되며 오름세를 보였다.
인천(0.03%→0.02%)은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경기(-0.02% → -0.06%)는 입주물량 영향 있는 일부 지역으로 매매가격이 하향 조정됐다. 인천의 경우 연수(0.07%)·서구(0.06%)는 정주여건 양호한 신도시 위주로 급매물 소진 후 매물 가격이 높아졌으나 미추홀(-0.09%)은 숭의·주안동 소형 단지, 부평(-0.01%)은 공급물량 영향으로 갈산·부개동 위주로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상이했다.
경기는 용인 처인(0.32%)의 개발호재 영향있는 남사·이동읍과 용인 수지(0.12%)의 풍덕천·성복동, 화성(0.15%)의 송·새솔동 중소형 평형의 매물 가격이 오르면서 상승 조정됐다. 양주(-0.39%)는 덕계·삼숭동 구축, 의정부(-0.36%)는 장암·민락동 위주로 각각 하락했다.
전세가격 하락 곡선도 완만해졌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0.10%) 대비 하락폭이 작아진 -0.08%에 머물렀다. 수도권(-0.06%→-0.04%) 5대광역시(-0.19%→-0.15%) 8개도(-0.13%→-0.10%) 세종(0.05%→0.05%) 등에서 낙폭을 줄였다.
서울 전세가격은 매매가격과 동반 상승했다. 지난주 -0.06%에서 0.07포인트(p) 오른 0.01%로 집계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장기화된 전세가격 하락 이후 추가 가격급락 우려가 감소 중인 상황에서 국지적으로 정주 여건이 양호한 주요 대단지 위주로 급매물 소진 후 상승조정 매물 계약이 성사되며 상승 전환됐다"고 전했다.
마포(0.05%)·은평(0.01%)은 교통 환경 등이 양호한 주요 단지 위주로 전세가가 높아졌다. 성동(0.00%)은 지난주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도봉(-0.22%)·광진(-0.18%)·서초(-0.08%)·관악(-0.08%)은 하락세를 보였다. 송파(0.54%)·강남(0.24%)·동작(0.08%)는 정주 여건이 좋은 주요 단지에서 직전보다 가격이 오른 계약이 다수 체결된 영향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