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교통공사는 내년 1월 전동차 내 객실의자 개선 방안의 일환으로 지하철 4·7호선 각 1편성 당 2개 칸 내 의자를 제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동차 객실 공간을 확보해 혼잡도를 완화하려는 목적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시범사업을 점차 확대해 더욱 쾌적한 지하철 이용이 가능하도록 지속적인 개선을 이뤄나갈 계획이다./사진제공=서울교통공사
1일 서울교통공사가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내년 1월 중으로 전동차 객실의자 개선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6일 공사가 발표한 승강장 혼잡도 개선 계획과 함께 열차 내 혼잡도 개선을 위한 방안 중 하나이다.
공사는 지난달 30일부터 출퇴근 시간대 4호선과 7호선의 열차 운행 횟수를 각각 오전 4회, 오전·오후 1회 증회해 혼잡도를 관리하고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지하철 4·7호선 각 1편성에서 2개 칸 내 일반석 의자를 제거해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를 개선한다. 객실 내 의자 제거는 호선, 차호, 차내 환경 등을 종합 검토 후 출퇴근 시간대 승객이 많이 타고 객실 의자 밑 중요 구성품이 적은 호차를 선정해 우선 추진한다.
4호선과 7호선은 올 3분기 기준 최고 혼잡도가 각각 193.4%, 164.2%로 여전히 150%를 초과한다. 공사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혼잡도 완화와 수송력 향상 등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객실 의자 제거 시 지하철 혼잡률은 34.1%~40.0%까지 개선되고 칸당 12.6㎡ 의 탑승 공간을 확보돼 승객 편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높은 혼잡도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4호선 3개 편성 30칸, 7호선 1개 편성 8칸의 도입을 추진한다. 열차 증차는 노후 전동차 교체사업 발주 시 통합 발주와 계약변경의 방식으로 추진해 도입 시기를 앞당기고 비용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공사는 출퇴근 시간대 증회 운행을 비롯해 주요 역에 혼잡도 안전도우미를 비치하는 등 혼잡도를 낮추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시범 사업 시행 후 효과성이 입증되면 추후 확대 시행함으로써 이용 시민들이 더욱 쾌적하고 안전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을 이뤄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