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강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1910년 10월1일,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설립했다. 사진은 과거 조선총독부의 전경. /사진=서울역사박물관
1910년 8월 29일 한일병합 조약을 공포해 본격적인 식민 지배를 시작한 일본은 종래의 한국통감부를 대신할 목적으로 1910년 10월1일 조선총독부를 설치했다. 조선총독부는 입법, 사법, 행정 전반의 권한을 모두 가졌으며 이러한 막강한 권력을 기반으로 조선을 식민 통치했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식민법제와 제도를 만들었다. 이때 수립된 제도와 기구는 조선이 일본에 해방되고 난 뒤에도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조선총독부의 잔재로 문·이과 제도가 있다. 문·이과 제도는 식민 통치에 필요한 인재를 배출할 목적으로 학생을 나눠 선발했던 제도다. 교육 공급자 편의에 맞춰 만들어진 제도이기에 학생 개인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문·이과 통합정책으로 그 구분이 흐려졌지만 최근까지도 국민 전체에게 영향을 준 대표적인 조선총독부의 식민 제도이다.
조선을 강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1910년 10월1일,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창립했다. 이토 히로부미의 모습. /사진=한국외교협회
조선총독부는 크게 세 번에 걸쳐 구조상의 변화를 겪었다. 제1기로 분류되는 1910년부터 1919년은 이른 '무단통치기'로 헌병 경찰에 의한 군사적인 지배가 이루어졌다. 일본제국의 통치를 반발하는 사람들에게 헌병 경찰의 무력을 과시하며 공포감으로 조선을 지배하려고 시도한 시기이다.
2기로 분류되는 1920년부터 1932년은 '문화통치'로 분류된다. 문화통치는 3·1 운동 등으로 무단통치의 유지가 불가능해지자 조선인들의 불만을 잠재우고자 시행됐다. 표면적으로는 조선인에 대한 차별을 완화하는 정책들을 펼친 시기이지만 실상은 민족문화 말살,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는 기만적인 식민 통치 방식이었다.
3기인 1932년부터 1945년은 '민족말살통치기'로 분류된다. 민족말살통치는 일본이 중일전쟁·태평양전쟁으로 침략전쟁을 확대하며 식량과 물자 등을 충원하기 위해 조선의 자원을 총동원하던 시기이다. 인적·물적 자원을 전쟁에 동원하기 위해 반항심을 가지는 조선인이 아닌 일본인 자체가 필요했기 때문에 민족정신을 말살시키기 위해 황국 신민화 정책 같은 갖은 정책을 펼쳤다. 또 국가 총력전 수행을 위해 조선의 모든 인적·물적 자원을 조선총독부가 통제하고 운영했다.
조선을 강압적으로 통치하기 위해 1910년 10월1일, 일본은 조선총독부를 창립했다. 사진은 철거하는 조선총독부의 모습./사진=유튜브 채널 '크랩 KLAB' 캡쳐
그 후로도 조선총독부 청사는 유지되다가 1993년 문민정부가 들서고 건물 철거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졌다. 당시 국민의 70%가 찬성했지만 역사적 가치 때문에 학계에서는 찬반 논란이 뜨거웠다. 결국 1995년 3·1절이 되어서야 정부는 조선총독부 청사 건물 철거를 선포했다. 같은해 8월15일 광복절, 일본 제국주의의 상징인 조선총독부의 철거가 시작됐고 이듬해 완전히 철거돼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