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딸 주애가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사진은 지난달 김 총비서가 중국을 방문할 당시 주애(왼쪽에서 두 번째)와 동행한 모습. /사진=뉴시스(조선중앙TV)
북한 노동당 창건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김정은 당 총비서의 딸 주애가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초 중국 방문 이후 한 달 넘게 공식 석상에서 자취를 감추면서 김주애의 행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1일 뉴스1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10일 '당 창건 80주년 경축 열병식'이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성대하게 거행됐다고 보도했다.


신형 무기가 등장한 열병식 만큼이나 관심을 모은 것은 주애의 참석 여부였다. 주애는 지난달 김정은 총비서의 중국행에 동행하며 후계자로서의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다. 따라서 열병식에도 자리할 경우 후계자 구도가 굳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북한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주애는 열병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주애는 지난달 5일 아버지 김 총비서를 따라 중국 베이징에서 평양으로 돌아올 당시 북한 매체에 포착된 후 한 달 이상 공식 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주애는 2023년 '정권 수립 75주년'(9월8일) 기념일 열병식 당시 주석단에 올라 김 총비서 바로 옆자리에서 행사를 지켜봤다. 특히 당시 군 장성들이 주애 앞에 무릎을 꿇고 경례하는 장면이 연출돼 존재감이 크게 부각됐다.


이번 열병식에는 중국과 러시아 '2인자'인 리창 국무원 총리와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은 물론 베트남 최고지도자인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등이 참석했다. 이와 관련해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주애가 등장할 경우 지난달 중국 전승절 때처럼 국제사회의 관심사가 '북한 후계자 구도'에 집중될 것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다. 이어 "같은 이유에서 김 총비서의 아내 리설주도 참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비서가 이번 열병식을 계기로 미국과 사이가 좋지 않은 사회주의국가 간의 연대를 강화하며 북한의 외교적 보폭을 넓히려는 목적이 있었다는 분석도 있다. 이에 따라 의도를 부각하기 위해 주애를 의도적으로 등장시키지 않았을 것이라고 설명이다.

주애가 아직 어린데다 당 공식직함이 없는 만큼 외빈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지난달 방중 당시에도 베이징에 도착할 당시와 평양 복귀 당시에만 북한 매체에 포착됐을 뿐이다. 정작 3박4일간 진행된 김 총비서의 각종 공식 일정에는 동석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