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 간다리아점에 이어 발리점을 리뉴얼했다. 발리점은 리뉴얼 후 7주간 매출이 50% 상승했고 객수는 약 3배 증가했다. 사진은 롯데마트 발리점 매장 전경. /사진=롯데마트
롯데마트가 인도네시아 발리점을 도·소매 하이브리드 매장으로 전환한 뒤 매출과 객수가 모두 증가했다. K푸드 중심의 먹거리 진열 면적을 확대하고 즉석조리 식품 전문 공간을 신설한 것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롯데마트는 지난 8월21일 리뉴얼한 발리점이 오픈 직후 7주간(8월21일~10월10일) 누계 매출이 리뉴얼 이전 대비 50% 상승했으며, 객수는 약 3배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롯데마트는 2024년 1월 자카르타 간다리아점을 인도네시아 1호 그로서리 전문 매장으로 리뉴얼했다. 이후 발리점을 도매형 매장에 소매 공간을 접목한 '도·소매 하이브리드 매장'으로 리뉴얼했다. 발리점은 남쪽 쿠타와 북쪽 우붓을 연결하는 핵심 교통 거점에 위치해 반경 3km 내 약 12만명의 배후 수요와 월평균 12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공존하는 입지를 갖췄다.

롯데마트는 리뉴얼을 통해 기존 60% 수준이었던 먹거리 진열 면적을 90%까지 확대했다. 기존 2000평 규모의 도매 매장을 1500평의 그로서리 전문 매장과 500평 규모의 도매 매장으로 재구성했다.

매장 입구에는 즉석조리 식품 전문 공간인 '요리하다 키친'과 자체 피자 브랜드 '치즈앤도우'로 구성된 '롱 델리 로드'를 배치했다. '요리하다 키친' 코너에서는 떡볶이, 닭강정, 김밥, 십원빵 등 총 100여가지의 K푸드를 판매하고 있다. 오픈 이후 한달간 김밥, 닭강정, 떡볶이 등의 상품이 각 3000개씩 판매됐다. 오픈 이후 7주간 발리점의 델리 매출은 목표 대비 60% 초과 달성했다.


농수축산물 코너 'FRESH', 냉동 식품 전문 코너 'FROZEN FOOD', 한국 식품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가공식품을 판매하는 'International Zone' 등도 신설했다. 축산 코너에서는 호주산 와규를 새롭게 들여왔으며 식품코너에서는 한국 냉동 만두와 뉴질랜드 치즈, 불닭볶음면 등을 선보이고 있다.

발리점은 관광객 및 현지인들의 매장 체류시간 증가를 위해 '코페아 카페앤베이커리'와 '머스트 헤브 오브 발리' 매장을 신설했다. 두 매장에는 하루 평균 200명이 방문하고 있다. 올해 10월에는 저녁 식사를 제공하는 포차 콘셉트의 '파티오 서울' F&B 매장을 오픈할 예정이다.

도매 매장에서는 사셰 및 대용량 상품 구색을 강화했다. '사셰'는 과자, 커피, 세제 등 일상 필수품을 소포장 단위로 제작한 제품으로 소규모 유통업자들의 핵심 재판매 아이템이다.

강성현 롯데마트·슈퍼 대표이사는 "발리점의 경우 '먹거리 특화 매장'이라는 소매 콘셉트를 더해 기존 도매 매장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선보였다"며 "앞으로도 그로서리 중심의 리뉴얼을 통해 글로벌 K푸드 경쟁력을 제고하는 현지 특화 매장이 지속해서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