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몰리는 종목 수익률도 좋을까?
전보규
4,809
공유하기
외국인의 매매동향은 국내 투자자들에게 최대의 관심사 중 하나다. 국내 증시의 큰 손으로 오랜 투자경험과 뛰어난 금융기술 등으로 시장을 주도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외국인의 지분 확대와 수익률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작년 말부터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0조7069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시가총액비중이 34.33%로 전년 말대비 1.47%포인트 증가했다.
이 기간동안 운수장비업종에 대한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운수장비업종 비중은 작년 말 33.21%에서 36.57%로 3.36%포인트 늘었다. 통신업(2.58%포인트), 서비스업(2.3%포인트), 기계(1.92%포인트), 화학(1.59%포인트)도 많이 사들였다.
반대로 의료정밀 비중은 2.2%포인트 줄였다. 금융업(-1.39%포인트), 건설업(-0.74%포인트), 의약품(-0.69%포인트), 전기가스(-1.01%포인트), 섬유의복(-0.08%포인트)의 주식도 내다 팔았다.
외국인의 지분율 확대와 수익률의 방향성은 달랐다. 작년 말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전기전자로 연초이후 19.62% 올랐다. 이 기간 외국인은 전기전자 비중을 44.7%에서 45.05로 0.35%포인트 늘리는데 그쳤다. 외국인으로부터 가장 뜨거운 러브콜을 받았던 운수장비 상승률은 9.34%였다.
하지만 외국인 비중 확대 상위에 이름을 올린 나머지 업종들은 코스피 상승률(5.84%)를 밑돌았다. 서비스업은 3.26% 오르는데 그쳤으며, 통신업(-0.61%), 기계(-2.71%), 화학(-2.22%)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외국인 지분율 감소폭이 가장 컸던 의료정밀은 12.95% 하락했다. 마찬가지로 지분을 줄인 섬유의복과 건설업은 각각 16.86%, 8.96% 내렸다.
반면 금융업과 의약품은 외국인의 지분 매도에도 불구하고 각각 2.64%, 2.42% 상승했다.
외국인 지분 확대 상위 종목들간 등락률 편차는 더욱 두드러졌다. 외국인이 지분율이 19.3포인트% 늘어난 대한해운은 84.03% 하락했으며, 엔씨소프트(-25.53%), 베이직하우스(-25.81%), 코리안리(-25.97%)도 주가가 내리막이었다.
반면 코라오홀딩스는 77.65% 상승했고 일진디스플레이(37.93%), 대덕GDS(43.22%), 호텔신라(24.55%)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그렇지만 외국인의 지분 확대와 수익률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작년 말부터 이달 13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10조7069억원을 순매수하면서 시가총액비중이 34.33%로 전년 말대비 1.47%포인트 증가했다.
이 기간동안 운수장비업종에 대한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했다. 운수장비업종 비중은 작년 말 33.21%에서 36.57%로 3.36%포인트 늘었다. 통신업(2.58%포인트), 서비스업(2.3%포인트), 기계(1.92%포인트), 화학(1.59%포인트)도 많이 사들였다.
반대로 의료정밀 비중은 2.2%포인트 줄였다. 금융업(-1.39%포인트), 건설업(-0.74%포인트), 의약품(-0.69%포인트), 전기가스(-1.01%포인트), 섬유의복(-0.08%포인트)의 주식도 내다 팔았다.
외국인의 지분율 확대와 수익률의 방향성은 달랐다. 작년 말 이후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업종은 전기전자로 연초이후 19.62% 올랐다. 이 기간 외국인은 전기전자 비중을 44.7%에서 45.05로 0.35%포인트 늘리는데 그쳤다. 외국인으로부터 가장 뜨거운 러브콜을 받았던 운수장비 상승률은 9.34%였다.
하지만 외국인 비중 확대 상위에 이름을 올린 나머지 업종들은 코스피 상승률(5.84%)를 밑돌았다. 서비스업은 3.26% 오르는데 그쳤으며, 통신업(-0.61%), 기계(-2.71%), 화학(-2.22%)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외국인 지분율 감소폭이 가장 컸던 의료정밀은 12.95% 하락했다. 마찬가지로 지분을 줄인 섬유의복과 건설업은 각각 16.86%, 8.96% 내렸다.
반면 금융업과 의약품은 외국인의 지분 매도에도 불구하고 각각 2.64%, 2.42% 상승했다.
외국인 지분 확대 상위 종목들간 등락률 편차는 더욱 두드러졌다. 외국인이 지분율이 19.3포인트% 늘어난 대한해운은 84.03% 하락했으며, 엔씨소프트(-25.53%), 베이직하우스(-25.81%), 코리안리(-25.97%)도 주가가 내리막이었다.
반면 코라오홀딩스는 77.65% 상승했고 일진디스플레이(37.93%), 대덕GDS(43.22%), 호텔신라(24.55%)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