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주파수 경매를 앞둔 이동통신 업계의 신경전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통사들은 경쟁사의 전략을 서로 '꼼수'라고 비난하며 원색적인 설전을 주고받고 있다.

14일 KT가 불공정 경쟁 환경을 타파하려면 자사에 1.8GHz 인접대역을 할당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자, 경쟁사인 LG유플러스가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앞서 SK텔레콤과 LGU+는 1.8GHz 롱텀에볼루션(LTE) 주파수 할당에서 KT를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에 KT가 자사를 통신시장에서 퇴출시키려는 '재벌의 꼼수'가 전개되고 있다고 반박하자 LGU+가 재반박에 나선 것.

LGU+는 이날 "'재벌의 꼼수'라는 용어를 써가면서 경쟁사를 비난하는 것이 오히려 'KT의 꼼수'"라며 "KT는 진정 기업으로서 기본 자질을 갖고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KT가 정부의 주파수 정책결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800MHZ가 아닌 900MHz 선택, 1.8GHz 주파수 반납 및 850MHz 주파수 확보 결정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주파수 전략의 실패를 스스로 야기해 놓고도 이제 와서 '불공정'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주파수 할당 특혜를 바라고 있다는 것.

LGU+ 관계자는 "우리는 2010년 4월 29일 KT가 선택하지 않은 800MHz 주파를 가지고 LTE 서비스를 위한 장비구축, 단말개발 및 마케팅 등의 사업 준비를 시작해 2011년 7월부터 서비스 제공에 들어가 12월에 84개시 망구축 및 3월에 세계 최초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고 데이터 2배, mVoiP 전면 허용, VoLTE 및 무제한 음성·데이터 요금제 출시 등  설비경쟁과 서비스 경쟁을 주도해나가고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LGU+에 비해 2~3배 넘는 매출과 투자, 유선시장에서의 독보적인 지배적 사업자, 이동통신 시장에서 30%를 보유한 2위 사업자라는 기본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정부에게 특혜부여를 압박하는 것은 경쟁의 진정한 의미를 모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관계자는 부실한 900MHz로는 통신시장에서 경쟁할 수 없다는 KT의 주장에 대해 "900MHz 할당이 결정된 2010년 4월부터 이미 알려진 RFID, 무선전화기의 혼간섭 이슈에 대해 준비했다면 충분히 해결 가능한 사안이었다"고 지적했다.

KT가 인접대역 할당을 주장하는 근거로 내세우고 있는 주파수 부족, MC, CA 등의 이슈에 대해서도 "1.8GHz가 아닌 2.6GHz 신규 할당을 통해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사안으로, 경쟁구도에서도 전혀 문제가 될 게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