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인접대역 할당 반대는 재벌들 꼼수" 비난
1.8GHz 인접대역 할당 요구
김수연
2,582
공유하기
KT는 14일 LTE 신규 주파수 할당 시 공정경쟁 등을 이유로 1.8GHz의 KT 인접대역을 할당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경쟁사의 주장에 '시장을 독식하려는 재벌기업의 꼼수'라고 비판했다.
현 LTE 주파수 상황도 불공정한데 1.8GHz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는 주장이다.
◆"상용화 시기도 불투명한 900MHz로 경쟁하라니…"
SKT와 LGU+는 800MHz 대역 각 20MHz 대역폭(이하 상하향)을 주력망으로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2012년 하반기부터 SKT는 1.8GHz, LGU+는 2.1GHz 각 20MHz 대역폭에 주파수부하분산기술(Multi Carrier, 이하 MC)을 적용해 일부 지역에서 보조망으로 활용하고 있다.
양사는 이와 함께 주력망과 보조망을 주파수집성기술(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로 묶어 현재 LTE보다 최대 2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연내 84개시에 적용할 계획이다.
반면 KT는 1.8GHz와 900MHz 대역 각 20MHz 폭을 주력망과 보조망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900MHz의 경우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상용화 가능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KT 관계자는 "900MHz의 경우 RFID(무선인식전자태그), 무선전화기 등과의 전파간섭 문제가 있어서 MC나 CA 기술을 보유하고도 적용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10월부터 500여명의 인력과 3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정부와 함께 문제해결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서울 주요 4개 구조차 최초 적용이 불가능하고 정식 상용화 일정도 예측이 어렵다"고 밝혔다.
KT가 1.8GHz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것.
경쟁사는 당장 40MHz 폭을 활용할 수 있는데 KT는 20MHz 폭밖에 사용할 수 없는 현 상황 자체가 불공정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인접대역 할당을 가로막는 것은 재벌기업이 자사를 모바일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한 '주파수 고사(枯死)' 전략이라고 이 회사는 보고 있다.
◆"1.8GHz 인접대역 달라"
공정경쟁을 위해서는 KT에 1.8GHz 인접대역을 할당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입자들에게 현재보다 두 배 빠른 LTE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KT 측이 강조하는 바다.
KT 관계자는 "인접대역 할당 시기가 늦어져도 국민 피해는 심각해진다. KT 인접대역 할당이 2~3년 뒤로 미뤄지면 통신사간 '두 배 빠른 LTE' 경쟁은 당분간 도심지역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며 "대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다수의 국민들은 같은 요금을 내고도 낮은 품질의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차별을 당하는 셈이다"고 설명했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KT가 인접대역을 즉시 할당 받아 전국 광대역망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KT 관계자는 "경쟁사는 자사 CA 구축에는 적극적이면서 KT에는 인접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해당 주파수를 할당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자사 잇속을 위해 고품질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를 박탈하려는 재벌기업의 얄팍한 꼼수다"고 말했다.
현 LTE 주파수 상황도 불공정한데 1.8GHz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는 주장이다.
◆"상용화 시기도 불투명한 900MHz로 경쟁하라니…"
SKT와 LGU+는 800MHz 대역 각 20MHz 대역폭(이하 상하향)을 주력망으로 LTE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2012년 하반기부터 SKT는 1.8GHz, LGU+는 2.1GHz 각 20MHz 대역폭에 주파수부하분산기술(Multi Carrier, 이하 MC)을 적용해 일부 지역에서 보조망으로 활용하고 있다.
양사는 이와 함께 주력망과 보조망을 주파수집성기술(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로 묶어 현재 LTE보다 최대 2배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연내 84개시에 적용할 계획이다.
반면 KT는 1.8GHz와 900MHz 대역 각 20MHz 폭을 주력망과 보조망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900MHz의 경우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상용화 가능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KT 관계자는 "900MHz의 경우 RFID(무선인식전자태그), 무선전화기 등과의 전파간섭 문제가 있어서 MC나 CA 기술을 보유하고도 적용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10월부터 500여명의 인력과 30억 원 이상의 예산을 투입해 정부와 함께 문제해결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서울 주요 4개 구조차 최초 적용이 불가능하고 정식 상용화 일정도 예측이 어렵다"고 밝혔다.
KT가 1.8GHz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것.
경쟁사는 당장 40MHz 폭을 활용할 수 있는데 KT는 20MHz 폭밖에 사용할 수 없는 현 상황 자체가 불공정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인접대역 할당을 가로막는 것은 재벌기업이 자사를 모바일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한 '주파수 고사(枯死)' 전략이라고 이 회사는 보고 있다.
◆"1.8GHz 인접대역 달라"
공정경쟁을 위해서는 KT에 1.8GHz 인접대역을 할당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가입자들에게 현재보다 두 배 빠른 LTE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KT 측이 강조하는 바다.
KT 관계자는 "인접대역 할당 시기가 늦어져도 국민 피해는 심각해진다. KT 인접대역 할당이 2~3년 뒤로 미뤄지면 통신사간 '두 배 빠른 LTE' 경쟁은 당분간 도심지역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며 "대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다수의 국민들은 같은 요금을 내고도 낮은 품질의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차별을 당하는 셈이다"고 설명했다.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KT가 인접대역을 즉시 할당 받아 전국 광대역망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KT 관계자는 "경쟁사는 자사 CA 구축에는 적극적이면서 KT에는 인접대역이라는 이유만으로 해당 주파수를 할당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자사 잇속을 위해 고품질 LTE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국민의 권리를 박탈하려는 재벌기업의 얄팍한 꼼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