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매시장, 4·1 대책 전으로 뒷걸음질
노재웅
2,576
공유하기
4·1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달아올랐던 경매시장이 취득세 감면 혜택이 종료되면서 이전 상태로 돌아간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전국 주거시설 경매 총응찰자수는 28일 기준 1만904명으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4·1 대책이 발표된 직후인 4월 1만6000여명을 넘기며 최대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35%가량 감소한 수치다.
전국 주거시설 낙찰가율 역시 7월 들어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올 들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1월 74.4%, 2월 75.4%, 3월 76.5%으로 조금씩 상승하면서 대책 이후 5월에는 80%까지 다다른 바 있지만, 7월 들어서는 대책 전 낙찰가율 수준인 76.7%로 다시 떨어졌다.
수도권 주거시설의 낙찰가율 감소폭은 더 컸다. 올해 1월 72.8%를 시작으로 소폭씩 상승세를 보이다가 대책 발표 직후 4월 76.3%로 급상승하고 5월 77.3%로 최대치를 보였다. 하지만 6월 들어 4개월 만에 상승세가 꺾이면서 소폭 하락했고 7월 들어서는 2.4%포인트 빠지면서 75.7%로 주저 앉았다.
실제 지난 4일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열린 부천시 원미구 상동 다정한마을삼성래미안아파트(85㎡) 경매에는 13명이 응찰해 감정가 3억7800만원의 88.9%인 3억3600만원에 낙찰됐다. 동일면적의 바로 옆 아파트가 대책 발표 후인 4월30일 16명이 응찰해 감정가 3억8000만원의 95.8%인 3억6387만원에 낙찰된 것과 비교하면 대책 전후 불과 두달 만에 2800만원 떨어진 셈이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4·1 대책 발표 후 활기를 띠던 경매시장이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자 대책 이전의 상태로 뒷걸음 쳤다”면서 “정부가 취득세 영구 인하 카드를 내세워 관망세가 커짐에 따라 취득세 결론이 날 때까지 당분간 냉랭한 분위기 속에서 저렴한 물건 중심으로만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9일 지지옥션에 따르면 전국 주거시설 경매 총응찰자수는 28일 기준 1만904명으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4·1 대책이 발표된 직후인 4월 1만6000여명을 넘기며 최대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35%가량 감소한 수치다.
전국 주거시설 낙찰가율 역시 7월 들어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올 들어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1월 74.4%, 2월 75.4%, 3월 76.5%으로 조금씩 상승하면서 대책 이후 5월에는 80%까지 다다른 바 있지만, 7월 들어서는 대책 전 낙찰가율 수준인 76.7%로 다시 떨어졌다.
수도권 주거시설의 낙찰가율 감소폭은 더 컸다. 올해 1월 72.8%를 시작으로 소폭씩 상승세를 보이다가 대책 발표 직후 4월 76.3%로 급상승하고 5월 77.3%로 최대치를 보였다. 하지만 6월 들어 4개월 만에 상승세가 꺾이면서 소폭 하락했고 7월 들어서는 2.4%포인트 빠지면서 75.7%로 주저 앉았다.
실제 지난 4일 인천지방법원 부천지원에서 열린 부천시 원미구 상동 다정한마을삼성래미안아파트(85㎡) 경매에는 13명이 응찰해 감정가 3억7800만원의 88.9%인 3억3600만원에 낙찰됐다. 동일면적의 바로 옆 아파트가 대책 발표 후인 4월30일 16명이 응찰해 감정가 3억8000만원의 95.8%인 3억6387만원에 낙찰된 것과 비교하면 대책 전후 불과 두달 만에 2800만원 떨어진 셈이다.
강은 지지옥션 팀장은 “4·1 대책 발표 후 활기를 띠던 경매시장이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자 대책 이전의 상태로 뒷걸음 쳤다”면서 “정부가 취득세 영구 인하 카드를 내세워 관망세가 커짐에 따라 취득세 결론이 날 때까지 당분간 냉랭한 분위기 속에서 저렴한 물건 중심으로만 거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