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상생센터' 설립…5년간 100억원 투자
김수연
2,900
공유하기
카카오가 모바일 상생 생태계 조성을 위해 5년간 100억원을 들여 '카카오 상생센터'를 설립한다.
카카오(공동대표 이제범, 이석우)는 7일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공동 주관하는 ‘콘텐츠 창의 생태계 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파트너사와 같이 만드는 모바일 생태계 구축안’을 발표했다.
이날 카카오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함께 모바일 콘텐츠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카카오 상생센터(가칭) 설립 ▲시스템 무상지원 확대 ▲핵심 개발환경 공개 및 무심사 입점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공동대표 이제범, 이석우)는 7일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가 공동 주관하는 ‘콘텐츠 창의 생태계 협의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파트너사와 같이 만드는 모바일 생태계 구축안’을 발표했다.
이날 카카오는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화부),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함께 모바일 콘텐츠 상생 발전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 각서를 체결하고 ▲카카오 상생센터(가칭) 설립 ▲시스템 무상지원 확대 ▲핵심 개발환경 공개 및 무심사 입점 확대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향후 5년간 100억원을 투자해 ‘카카오 상생센터(가칭)‘를 설립하고 모바일 게임, 콘텐츠, 커머스 등 다양한 중소기업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한 협력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우선 중소 모바일게임 개발사들에 대한 ▲투자· 퍼블리싱 사업자 알선 ▲콘텐츠 제작 지원 ▲테스트 환경 제공 ▲정기 교육 및 소통 채널 확대 등을 지원한다.
또한 카카오 상생센터와 별도로 카카오게임 개발에 필요한 일부 시스템의 서버·네트워크 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정책을 더욱 강화하는 등 100여 개의 파트너사가 연간 최대 100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돕겠다는 방침이다.
정보격차 최소화를 위해 핵심 개발환경도 공개한다. 카카오는 기존 파트너사들에게만 제공해왔던 ‘카카오 SDK(Software Development Kit)’를 모든 개발사와 일반인들에게 제공해 1인 개발자를 비롯한 누구라도 카카오게임을 개발·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문화부 주최의 공모전에 입상한 게임에 무심사 입점 기회를 부여하는 등 입점에 대한 공정한 기회 부여와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노력도 이어가기로 했다.
카카오 이석우 공동대표는 “현재 가장 많은 파트너사와 제휴를 맺고 있는 모바일게임에 대한 지원 방안들을 우선적으로 공개하였으나 앞으로 모바일 콘텐츠, 커머스 등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와 문화부, 미래부는 이날 진행된 업무 협약에 바탕해 중소 모바일 콘텐츠 기업에 대한 투자 활성화 및 기술개발 지원, 중소 모바일 콘텐츠 기업 대상 정기교육 등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공동 지원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