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공, 4대강 담합 건설사 '입찰제한'
김병화
4,281
2013.10.12 | 09:02:00
공유하기
수자원공사가 이달 중 4대강 사업 관련 담합비리를 저지른 건설사에 대한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 제재에 들어간다.
이는 조달청이 지난달 30일 4대강사업 담합비리를 저지른 15개 대형건설사에 대한 입찰제한 조치에 따른 것으로 해당 업체에 대한 정부의 제재조치가 확대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수자원공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후덕 의원(민주당, 경기 파주갑)에게 보낸 자료에서 “2012년 공정위의 4대강 사업 1차 턴키공사 입찰담합 판정 후 의결서가 송부돼 제재조치를 검토한 바 있다"면서 "하지만 공정위 의결내용만으로는 업체별 행위사실 확정이 곤란해 ‘취소소송’ 판결 이후로 제재를 보류했으나, 지난 9월 검찰 수사결과 발표 및 기소가 있어 이에 따라 부정당업자 제제절차에 착수하게 됐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는 13개 건설사(▲한강 6공구 입찰참여 7개사 ▲낙동강 18공구 입찰참여 3개사 ▲낙동강 23공구 입찰참여 3개사)에게 지난 1일 ‘부정당업자 제재 관련 의견요청’ 공문을 발송한데 이어, 10일까지 접수한 의견진술을 바탕으로 10월 중 계약심의위원회를 열어 제재를 개시할 예정이다.
수자원공사의 제제조치는 향후 일정기간 입찰참여를 제한하는 것이다.
수공이 입찰제한을 검토 중인 건설사는 한강 6공구 입찰참여 7개사(현대건설, 삼환기업, SK건설, 경남기업, 롯데, 두산, 동부), 낙동강 18공구 입찰참여 3개사(GS건설, 삼성물산, 한진중공업), 낙동강 23공구 입찰참여 3개사(대림산업, 계룡건설, 금호산업) 등이다.
이는 조달청이 지난달 30일 4대강사업 담합비리를 저지른 15개 대형건설사에 대한 입찰제한 조치에 따른 것으로 해당 업체에 대한 정부의 제재조치가 확대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수자원공사는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후덕 의원(민주당, 경기 파주갑)에게 보낸 자료에서 “2012년 공정위의 4대강 사업 1차 턴키공사 입찰담합 판정 후 의결서가 송부돼 제재조치를 검토한 바 있다"면서 "하지만 공정위 의결내용만으로는 업체별 행위사실 확정이 곤란해 ‘취소소송’ 판결 이후로 제재를 보류했으나, 지난 9월 검찰 수사결과 발표 및 기소가 있어 이에 따라 부정당업자 제제절차에 착수하게 됐다”고 밝혔다.
수자원공사는 13개 건설사(▲한강 6공구 입찰참여 7개사 ▲낙동강 18공구 입찰참여 3개사 ▲낙동강 23공구 입찰참여 3개사)에게 지난 1일 ‘부정당업자 제재 관련 의견요청’ 공문을 발송한데 이어, 10일까지 접수한 의견진술을 바탕으로 10월 중 계약심의위원회를 열어 제재를 개시할 예정이다.
수자원공사의 제제조치는 향후 일정기간 입찰참여를 제한하는 것이다.
수공이 입찰제한을 검토 중인 건설사는 한강 6공구 입찰참여 7개사(현대건설, 삼환기업, SK건설, 경남기업, 롯데, 두산, 동부), 낙동강 18공구 입찰참여 3개사(GS건설, 삼성물산, 한진중공업), 낙동강 23공구 입찰참여 3개사(대림산업, 계룡건설, 금호산업) 등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