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구당 자산 0.7% 늘동안 부채는 6.8% 증가
배현정
3,818
공유하기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는 평균 4475만원을 벌고, 2307만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338만원 흑자를 기록한 셈이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소득은 4475만원으로 전년(4233만원)보다 5.7% 증가했다. 이 기간 가구당 평균 가계지출은 3137만원으로 제자리걸음했다(전년대비 0.2% 증가).
가구당 자산도 늘어났다. 올 3월 기준 가구당 자산은 3억2557만원으로 2012년 3억2324만원에 비해 233만원(0.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자산이 늘어나는 규모에 비해 부채 증가 규모가 더 크다는 것. 지난해 가구당 부채는 5818만원으로 전년 5450만원에 비해 368만원(6.8%) 증가했다. 자산증가 규모보다 부채증가 규모가 더 큰 것이다. 이로 인해 순자산은 2억6738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37만원(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순자산 보유액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0~1억원 보유가구가 36.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억~2억원이 20.6%로 뒤를 이었고, 2억~3억원을 보유한 가구는 12.9%로 세번째로 많았다.
가구별로 여유자금을 운용하는 방법으로는 저축 또는 금융자산에 투자한다는 응답이 47.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부동산 구입과 부채 상환이 각각 23.9%, 22.5%를 기록했다.
머니위크 배현정 기자 [email protected]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소득은 4475만원으로 전년(4233만원)보다 5.7% 증가했다. 이 기간 가구당 평균 가계지출은 3137만원으로 제자리걸음했다(전년대비 0.2% 증가).
가구당 자산도 늘어났다. 올 3월 기준 가구당 자산은 3억2557만원으로 2012년 3억2324만원에 비해 233만원(0.7%)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주목할 점은 이러한 자산이 늘어나는 규모에 비해 부채 증가 규모가 더 크다는 것. 지난해 가구당 부채는 5818만원으로 전년 5450만원에 비해 368만원(6.8%) 증가했다. 자산증가 규모보다 부채증가 규모가 더 큰 것이다. 이로 인해 순자산은 2억6738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37만원(0.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순자산 보유액을 구간별로 살펴보면 0~1억원 보유가구가 36.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억~2억원이 20.6%로 뒤를 이었고, 2억~3억원을 보유한 가구는 12.9%로 세번째로 많았다.
가구별로 여유자금을 운용하는 방법으로는 저축 또는 금융자산에 투자한다는 응답이 47.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부동산 구입과 부채 상환이 각각 23.9%, 22.5%를 기록했다.
머니위크 배현정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