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환율이 강세를 보이면서 국내 10대 의 손실8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재벌닷컴이 공기업과 금융회사를 제외한 자산 상위 10대 그룹 소속 83개 상장사가 감사보고서에 공개한 환차손익 현황을 집계한 결과 올해 1∼3분기 누적 순환차손 금액은 7600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차익으로 15조9930억원을 벌었지만 환차손이 16조7530억원으로 손실이 더 컸던 셈이다. 지난해 순환차익이 957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년만에 1조7170억원의 손실을 본 것이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전자, SK하이닉스 등 수출위주의 기업들이 1000억원 규모의 순환차손을 기록했다. 원화강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이야기다.

삼성그룹의 올해 순환차손2890억원으로 지난해 1710억원보다 증가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2440억원 순환차익을 올렸지 올해에는 2190억원 순환차손이 발생했다. SK그룹도 지난해는 3분기 누적 순환차익이 1180억원이었지만 올해는 순환차손이 210억원이었다.

LG그룹역시 900억원 순차익에서 2820억 환차손으전됐다. 이는 4대 그룹에서만 2000억원대의 순환차손을 본것으로 이들의 손실 금액만 9910억원에 이른다.

이에 반해 환차손익이 플러스인 그룹들도 그 규모는 줄었다.

롯데그룹은 올해 620억원의 순익을 기록했해(920억원)보다는 줄었다. 포스코도 2960억원에서 230억원으로 급감했다. 한진한화 시 순환차익 규모가 크게 줄었다.

10대 그룹 중 유일하게 현대중공업만 작년 10억순환차손에서 올해 960억원 순환차익을 올렸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원초강세가 이어지면서 수출기업들이 특히 큰 피해를 입었다”라며 “원자재수입 업체나 외화부채가 많은 기업은 피해를 덜 받은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기업이 원화강세와 엔화약세로 타격을 입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