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택배, 1000만상자 시대 ‘활짝’
▲한 여성고객이 편의점 택배 장비인 포스트박스로 택배를 접수하고 있다.(사진제공=CJ대한통운)
 
편의점택배가 연간 이용량 1000만상자 시대를 열었다. 지난 2002년 첫선을 보인 이후 11년 만이다. 올해만 국민 5명 중 1명 꼴로 이용한 셈이다.

CU, GS25 전국 편의점 점포에서 택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CJ대한통운에 따르면 10월 기준 편의점택배 연간 누적 취급량이 1000만상자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택배 한상자 길이를 30㎝로 보고 늘어세우면 약 3000㎞에 달한다. 서울-부산(477㎞)을 3번 왕복하고도 남는다.


또한 올해 편의점택배 물량은 1200만상자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사업 첫해인 2002년 17만상자의 70배에 달한다.

편의점택배, 1000만상자 시대 ‘활짝’
이처럼 편의점택배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편리함 때문이다. 택배직원을 기다릴 필요 없고 소비자가 집 근처 편의점에서 24시간 접수할 수 있다. 편의점택배 장비인 포스트박스를 이용해 짧은 시간 내에 접수와 결제를 마칠 수 있는 점도 장점이다. 최근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이 같은 편리함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편의점은 단순한 소매점을 넘어 공공요금 수납·현금자동인출기를 통한 은행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간편 식품을 통한 간이식당 등으로 기능영역을 넓히면서 생활 속에 차지하는 비중을 키우고 있다. 편의점택배 이용이 늘고 있는 주된 요인이다.


젊은 층의 접근도가 높은 것도 물량증가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된다. 편의점 택배는 기념일이 많은 5, 6월이나 12월 등 특정 기간에 물량이 급증하게 마련이다. 편의점 이용 빈도가 높은 젊은 10~30대 층들이 편의점에서 택배를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편의점택배는 이용객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고 택배사는 가정집을 찾지 않고 다수의 물량을 픽업할 수 있어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좋은 모델”이라며 “편의점 점포 수 확대와 생활 습성의 24시간화, 고객이 지정한 편의점에서 주문한 물건을 찾아갈 수 있는 픽업 서비스 등 접수 이외 서비스 활성화를 고려해볼 때 편의점 택배 물량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