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건설 결국 법정관리 가나…채권단-군인공제 협상 결렬
차완용 기자
5,379
공유하기
![]() |
군인공제회의 쌍용건설 계좌 가압류를 풀기 위한 채권단과 군인공제회의 협상이 소득 없이 끝났다.
금융당국의 중재에도 양측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워크아웃 중인 쌍용건설의 법정관리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워크아웃 상태인 쌍용건설은 군인공제회의 이자 탕감, 출자 전환 등 지원이 이뤄지지 않으면 법정관리 신청이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쌍용건설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과 군인공제회는 9일 오후 금융위원회의 중재로 쌍용건설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재협상을 했다.
하지만 이날 만남에서 양측은 기존 입장을 고수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우리은행은 군인공제회에 쌍용건설에 대한 출자전환 동참과 원리금 1230억원 상환 3년 유예, 쌍용건설에 대한 가압류 해제 등을 요구했다. 채권단의 지원금을 군인공제회가 가져가게 되는 상황에선 쌍용건설을 지원할 명분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군인공제회는 채무 일부 유예와 이자 감면은 받아들일 수 있지만, 출자전환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군인공제회 측은 “대출 원금 850억원 가운데 400억원은 올해, 나머지 450억원은 내년에 회수하는 내용으로 양보안을 제시했지만 채권단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채권단도 아닌 군인공제회가 출자전환에 참여할 의무는 없다”고 말했다.
양측은 추가 협의 일정도 잡지 못하고 협상을 끝냈다. 채권단과 군인공제회의 협상이 실패하면 쌍용건설은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될 가능성도 있다. 자금을 지원해봐야 군인공제회에 돌아가 워크아웃이 무의미하다고 채권단은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쌍용건설은 군인공제회의 쌍용건설 경기 남양주 사업장에 대한 가압류 신청이 지난 4일 승인되면서 150개 공사가 중단되거나 차질을 빚고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