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공제회가 쌍용건설로부터 1235억원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원리금을 상환받기 위해 관급공사 현장 7곳에 대해 채권가압류를 신청했다.
 
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에서 진행 중이던 관급공사 현장 7곳에 대한 군인공제회의 가압류 신청을 법원이 지난25일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군인공제회는 쌍용건설의 남양주 화도사업장에 850억원을 빌려줬고 쌍용건설이 보증을 섰다. 그러나 대출 만기가 지나면서 연체이자까지 발생해 원리금이 총 1230여억원으로 늘었다. 군인공제회는 이 돈을 모두 받겠다는 입장이다.

군인공제회 관계자는 “공제회원들의 권익을 위해 더 이상 PF 원금과 연체 이자를 포함한 1200억원 회수를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해 가압류 신청을 했다”고 말했다.

군인공제회의 PF는 워크아웃과 무관한 비협약채권이라 채권단은 이를 상환해줘야 한다. 하지만 쌍용 채권단은 12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군인공제회가 회수할 경우 쌍용건설의 회생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며 원금 회수를 미루고 이자를 탕감해 달라는 협상을 벌여왔다.

현재 쌍용건설 측은 냉가슴만 앓고 있다. 채권단과 군인공제회가 이렇다 할 협상스케줄을 잡지 않은 상황에서 실제 가압류가 진행될 경우 ‘법정관리’라는 최악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채권단과 군인공제회가 원만하게 타협점을 찾아 공사현장 전체가 멈추는 것만은 막아야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채권단은 6일 쌍용건설 관계자 등과 모여 긴급회의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