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과 강릉, 정선 일대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특구로 지정됐다.

여기에 앞으로 20년간 3조원을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평창 일대를 국제관광도시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10일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특구종합계획’을 최종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9배가 넘는 27.4㎢ 규모를 특구로 정해 스포츠 지원시설 및 교통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특구는 동계올림픽 개최 종목과 입지·자원 등을 고려해 5개 특구(11개 사업지구)로 나뉜다.


▲설상경기와 올림픽 개·폐회식이 열리는 평창 대관령·진부면 일대는 ‘평창 건강올림픽 종합특구’ ▲강릉 빙상경기장과 경포호 인근은 ‘강릉 문화올림픽 종합 특구’ ▲스노보드 경기가 개최되는 평창 봉평면 일원은 ‘봉평 레저·문화 창작 특구’ ▲강릉 옥계면은 ‘금진 온천 휴양 특구’ ▲정선 중봉 활강스키 경기장은 ‘정선 생태체험 특구’로 각각 지정됐다.

정부는 2032년까지 총 3조3063억원(국비 3641억원, 지방비 2828억원, 민간자본 2조6594억원)을 투입하고 세금 감면과 기반시설 지원 등의 혜택을 줄 예정이다.


정부는 해당 특구가 조성되면 20년간 10조4600억여원의 지역 내 총생산 증가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26만4000여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전망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이번 특구종합계획은 4년 앞으로 다가온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뿐만 아니라 이후의 지속적인 지역 발전 및 문화육성으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