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추정 사이버공격 징후 발견...과거와 유사한 악성코드 포착돼
강인귀 기자
6,028
공유하기
순천향대 SCH사이버보안연구센터(센터장 염흥열 교수)는 최근 북한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악성코드를 발견하였다고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금번에 발견된 악성코드는 북한 소행으로 알려진 7.7 디도스(2009), 3.4 디도스(2011), 농협 전산망 마비(2011), 중앙일보 해킹(2012) 시 사용된 악성코드와 매우 유사한 변종 악성코드의 최신 버전.
통상 북한 해커들은 디도스 공격 및 하드 파괴 등의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는 좀비 악성코드를 유포하기에 앞서 좀비 악성코드들을 제어할 수 있는 봇넷을 먼저 구축하는 데, 이번 악성코드는 초기 봇넷 구축에 사용되는 것이라고 한다. 현재 구축된 봇넷의 크기는 아직 미미하나 상황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공격자가 원하는 주제의 키워드를 전송 받아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을 수집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기능은 지난 북한 추정 사건들의 악성코드에서 발견된 기능과 동일하다는 설명.
7.7 디도스 공격 초기 봇넷 구축 당시에도, 이 기능을 통해 국방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 및 “작계5029”와 같은 군사기밀을 유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한다.
SCH사이버보안연구센터는 무엇보다 현재 전세계 모든 백신들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하지 못하고 있어서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현재 봇넷이 구축되는 초기에 악성코드를 발견하여 확인을 했기에 추후 발생할지 모를 추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센터와 협력을 맺은 기관들에 신속히 공유하여 조치할 예정이라 밝혔다.
센터장 염흥열 교수는 “이번 악성코드가 단순히 봇넷 구축 단계에서 끝날지, 아니면 대규모 사이버 테러로 발전할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혹시 대형 사이버 테러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금번에 발견된 악성코드는 북한 소행으로 알려진 7.7 디도스(2009), 3.4 디도스(2011), 농협 전산망 마비(2011), 중앙일보 해킹(2012) 시 사용된 악성코드와 매우 유사한 변종 악성코드의 최신 버전.
통상 북한 해커들은 디도스 공격 및 하드 파괴 등의 실질적인 피해를 입히는 좀비 악성코드를 유포하기에 앞서 좀비 악성코드들을 제어할 수 있는 봇넷을 먼저 구축하는 데, 이번 악성코드는 초기 봇넷 구축에 사용되는 것이라고 한다. 현재 구축된 봇넷의 크기는 아직 미미하나 상황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암호화된 통신을 통해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공격자가 원하는 주제의 키워드를 전송 받아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파일을 수집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기능은 지난 북한 추정 사건들의 악성코드에서 발견된 기능과 동일하다는 설명.
7.7 디도스 공격 초기 봇넷 구축 당시에도, 이 기능을 통해 국방 전자자료유출방지체계 및 “작계5029”와 같은 군사기밀을 유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고 한다.
SCH사이버보안연구센터는 무엇보다 현재 전세계 모든 백신들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하지 못하고 있어서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라며 현재 봇넷이 구축되는 초기에 악성코드를 발견하여 확인을 했기에 추후 발생할지 모를 추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센터와 협력을 맺은 기관들에 신속히 공유하여 조치할 예정이라 밝혔다.
센터장 염흥열 교수는 “이번 악성코드가 단순히 봇넷 구축 단계에서 끝날지, 아니면 대규모 사이버 테러로 발전할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혹시 대형 사이버 테러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