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 비만의 기준, 초과할시 다이어트는 필수
강인귀 기자
4,437
2014.02.10 | 16:44:42
공유하기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복부비만의 기준’이라는 제목이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은바 있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11일 대한비만학회가 발표한 자료에서는 남성의 경우 90cm(36인치), 여성의 경우 85cm(34인치)면 복부비만 기준이 된다.
현대인의 건강을 가장 위협하고 있는 적으로 꼽히는 복부비만은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로써 잦은 폭음과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복부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특히 복부비만의 경우 내장 지방양이 높을 때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음식조절과 운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따로 운동할 시간을 낼 수 없을 만큼 바쁘거나 스트레스, 의지부족 등의 문제들로 인해 다이어트성공을 쉽게 이룰 수 없다.
이밖에도 쉽고 편하게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서 다이어트비용을 따져보며 식욕을 억제하는 다이어트약을 찾아보거나, 온라인상의 다이어트성공후기, 다이어트추천방법 등을 찾아보며 여러 방법들로 시도해보지만 결국 자신에게 맞지 않는 다이어트를 하게 될 때에는 요요현상이나 각종 부작용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한해가 시작된 지 벌써 한달이 지난 시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다짐했던 다이어트를 좀 더 쉽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에 대해 한 한의사는 “예전 어르신들은 건강하고 장수에 이르게 한다고 해서 배에 왕뜸을 많이 해왔었는데, 이는 복부의 혈액순환을 돕고 배를 따뜻하게 해줌으로써 오장육부의 기능을 강화해주기 때문이다"면서 "전신뿐만 아닌 자신이 원하는 부위를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비만의 경우 뜸치료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한약, 침치료를 병행하여 복부에 쌓여 있던 지방세포를 분해하는데 효과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바른 다이어트성공은 효과적으로 체중 감량하는 것뿐 만 아니라 건강함을 유지하는 것에 있다" 며 "특히 식이요법과 운동은 반드시 필요한데, 시간적인 제약과 생활상의 이유 때문에 제대로 된 식이요법을 지킬 수 없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조언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11일 대한비만학회가 발표한 자료에서는 남성의 경우 90cm(36인치), 여성의 경우 85cm(34인치)면 복부비만 기준이 된다.
현대인의 건강을 가장 위협하고 있는 적으로 꼽히는 복부비만은 고혈압, 당뇨, 심근경색 등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원인 중의 하나로써 잦은 폭음과 불규칙적인 식사,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복부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되는 상태를 말한다.
특히 복부비만의 경우 내장 지방양이 높을 때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음식조절과 운동이 필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따로 운동할 시간을 낼 수 없을 만큼 바쁘거나 스트레스, 의지부족 등의 문제들로 인해 다이어트성공을 쉽게 이룰 수 없다.
이밖에도 쉽고 편하게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서 다이어트비용을 따져보며 식욕을 억제하는 다이어트약을 찾아보거나, 온라인상의 다이어트성공후기, 다이어트추천방법 등을 찾아보며 여러 방법들로 시도해보지만 결국 자신에게 맞지 않는 다이어트를 하게 될 때에는 요요현상이나 각종 부작용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한해가 시작된 지 벌써 한달이 지난 시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다짐했던 다이어트를 좀 더 쉽게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에 대해 한 한의사는 “예전 어르신들은 건강하고 장수에 이르게 한다고 해서 배에 왕뜸을 많이 해왔었는데, 이는 복부의 혈액순환을 돕고 배를 따뜻하게 해줌으로써 오장육부의 기능을 강화해주기 때문이다"면서 "전신뿐만 아닌 자신이 원하는 부위를 선택하여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복부비만의 경우 뜸치료 뿐만 아니라 다이어트한약, 침치료를 병행하여 복부에 쌓여 있던 지방세포를 분해하는데 효과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바른 다이어트성공은 효과적으로 체중 감량하는 것뿐 만 아니라 건강함을 유지하는 것에 있다" 며 "특히 식이요법과 운동은 반드시 필요한데, 시간적인 제약과 생활상의 이유 때문에 제대로 된 식이요법을 지킬 수 없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