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족 늘어나니 소비자 불만족도 급증, 개선책은?
문혜원 기자
2,021
공유하기
해외직접구매가 늘어나면서 소비자의 피해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해외직구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이 2012년 1181건에서 2013년 1551건으로 31.3% 증가했다. 올해에는 1월만 211건 접수됐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접수된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 불만 1066건의 불만이유를 분석해보면 '반품 시 과도한 배송료나 수수료요구'가 315건(29.5%)으로 가장 많았다.
불만 현황에는 '취소 및 환불지연 및 거부'가 281건(26.4%)으로 뒤를 이었고 '배송지연, 오배송, 분실'이 202건(19.0%), '제품불야, 파손 및 A/S불가'가 126건(11.8%)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자 연락두절'인 경우도 68건(6.4%)이나 돼 소비자의 주의가 당부된다.
해외직구 이용 품목은 의류와 신발·가방·패션잡화 등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는 일상 신변용품이 72.6%로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 측은 해외직구가 해외직접배송, 해외배송대행, 해외구매대행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각 유형별 장단점을 숙지하고 구매해야 소비자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해외직구 서비스 비교 등 시장에 대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이라며 "해외직구가 집중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등에 관련된 구매 피해 구제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해외직구와 관련한 소비자 불만이 2012년 1181건에서 2013년 1551건으로 31.3% 증가했다. 올해에는 1월만 211건 접수됐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접수된 해외직구 관련 소비자 불만 1066건의 불만이유를 분석해보면 '반품 시 과도한 배송료나 수수료요구'가 315건(29.5%)으로 가장 많았다.
불만 현황에는 '취소 및 환불지연 및 거부'가 281건(26.4%)으로 뒤를 이었고 '배송지연, 오배송, 분실'이 202건(19.0%), '제품불야, 파손 및 A/S불가'가 126건(11.8%)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업자 연락두절'인 경우도 68건(6.4%)이나 돼 소비자의 주의가 당부된다.
해외직구 이용 품목은 의류와 신발·가방·패션잡화 등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는 일상 신변용품이 72.6%로 가장 많았다.
한국소비자원 측은 해외직구가 해외직접배송, 해외배송대행, 해외구매대행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각 유형별 장단점을 숙지하고 구매해야 소비자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해외직구 서비스 비교 등 시장에 대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이라며 "해외직구가 집중되고 있는 미국과 중국 등에 관련된 구매 피해 구제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