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미래 전기, '밝힐 날' 온다
전력대란 공포는 끝났나 / 신재생에너지의 현실
박성필 기자
3,906
공유하기
올여름은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으로부터 안전할까. 정부는 신규발전소가 추가된 데다 지난해보다 덜 더울 것이라는 기상청 예보에 따라 정전사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지난 2011년에도 정부는 '문제 없다'며 자신만만해 했다. 그리고 그해 9월15일 정부의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 예고 없이 찾아온 전력대란으로 전국이 어둠에 휩싸였고 국민과 기업들은 재산 및 정신적 피해를 입었다. 올여름엔 상황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전력난에서 완전히 벗어날 것이라고 보장하기엔 이르다. 이에 <머니위크>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전력대란 공포에 대해 짚어봤다. 원전의 안전성과 구조적 문제를 분석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현주소를 살펴봤다. 전력낭비의 현장을 고발하고 우리나라 전력의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양수발전소를 찾아봤다. 아울러 전기료를 아끼는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봤다.
올해는 매년 반복되던 전력난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정부는 지난달 26일 발표한 '하절기 전력 수급대책'을 통해 "올해에는 전력대란이 없을 것"이라고 단정지었다. 하지만 문제는 눈앞에 닥친 미래가 아닌 좀 더 먼 훗날의 미래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전력계통은 1억㎾ 규모에 이른다. 상당한 규모의 신규발전소가 건설되고 초고압 송전망 확충이 이뤄져야만 전력문제가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제적 화두인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 ▲석유고갈에 대비한 에너지 자원 확보 ▲지구환경보존을 위한 지속가능 경제성장 ▲국내 최대현안인 녹색성장의 한 가운데는 신재생에너지가 자리 잡고 있다. 즉 '산유국이 아니기 때문에 석유를 탐사한다'는 생각을 더 이상 고수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렇듯 전력난 대책은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주력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집약된다. 화석원료를 사용한 전통적인 에너지 생산에서 벗어나 신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 석유 한방울 나오지 않는 우리나라가 미래의 전력난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으로 신재생에너지를 꼽는 배경이다. 신재생에너지는 아직 경제성이 미약하나 미래를 위해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 |
현대중공업 제주 해상풍력발전기 /사진=머니투데이 DB |
◆피할 수 없는 선택 '신재생에너지'
미래를 예견할 때 자주 비유되는 영화가 지난 1985년 개봉한 <백투더퓨처>다. 이 영화를 보면 미래에서 날아온 비행자동차에 알루미늄캔을 간단히 구겨 넣기만 하면 원자력 연료로 전환된다. 이 영화를 보면서 '정말 저런 세상이 올까'라고 생각한 사람이 많을 것이다.
사실 신재생에너지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분명 지금의 현실과는 거리가 멀다. 이 영화 속에서의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미래에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화석연료가 등장하지 않는다. 알루미늄캔을 원자력 연료로 전환시키기에는 아직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현재의 신재생에너지는 산업적인 측면에서 더욱 치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는 이제 막 태동한 연료지만 환경오염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커다란 장점을 지니고 있다.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지속적이고 일관된 정책으로 추진하느냐, 또는 어떤 장기적 계획을 갖고 투자하고 활성화하느냐의 문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발전은 현재로선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어디에나 존재하는 태양광이나 지열과 같은 자원을 활용하는 차원으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주장은 꽤 오래 전부터 제기돼 왔지만 국내 신재생에너지는 아직까지 큰 빛을 보지 못했다.
![]() |
롯데마트 평택점 태양열 집열판 /사진=머니투데이 DB |
◆'없는' 석유보다 '있는' 신재생에너지로
결론부터 얘기하면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정부 보조 속에서만 가능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외국은 어떨까. 독일의 신재생에너지산업은 이미 정부의 보조단계를 넘어섰다. 선진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실생활의 에너지로 사용한다. 기존 화석연료에 밀리지 않는다는 얘기다.
국내의 왜곡된 에너지 요금구조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다. 외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산업이 돈이 되지만, 우리나라는 전기요금이 낮아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수익성이 떨어진다. 국내의 낮은 에너지요금이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더구나 현 정책으로 신재생에너지의 균형 있는 발전전략을 세우는 것도 쉽지 않다.
이승훈 녹색성장위원장은 "신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를 위해 우리는 전기요금보다 비싼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석유를 한방울도 생산하지 못하는 반면 태양광에너지와 지열 등은 지구상 모든 곳에 무한대로 존재한다"며 "이를 활용해 사용할 수 있는 전력으로 만드는 게 쉬울지, 우리나라에 없는 석유를 찾는 게 쉬울지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위닉스 지열발전 테스트 장비 /사진=머니투데이 DB |
◆꾸준히 늘고 있는 '낙관적' 평가
물론 국내 신재생에너지산업이 비관적인 것만은 아니다. 2004년부터 시작된 공공기관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사업은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을 견인했다. 이에 대한 근거도 찾아볼 수 있다.
실제로 건축물에 적용된 태양광에너지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2005년 985TOE, 2008년 1173TOE, 2009년 3889TOE, 2010년 4983TOE, 2012년 1만55TOE, 2013년 1만3181TOE로 꾸준히 증가했다. TOE(Ton of Oil Equivalent)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에너지원의 발열량에 기초해 이를 석유의 발열량으로 환산한 것으로, 석유환산톤을 말한다.
지열에너지는 2005년 4727TOE, 2006년 5753TOE로 늘어난 이후 2007년과 2008년에는 각각 3164TOE, 3560TOE로 다소 부진했다. 그러나 2009년 1만2481TOE, 2011년 2만135TOE, 2013년 2만3758TOE로 증가했다.
태양열에너지는 들쑥날쑥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난해 급격히 늘었다. 2004년 126TOE에서 2005년 213TOE로 증가한 이후 2006년 117TOE, 2007년 148TOE, 2008년 148TOE, 2009년 121TOE을 오르락내리락 하더니, 2009년 520TOE로 반짝 늘었다가 다시 2010년 448TOE, 2011년 393TOE, 2012년 238TOE로 감소세를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839TOE로 급증했다.
더구나 내년 1월1일부터는 신재생에너지의무비율이 12%에서 15%로 늘어난다. 이후 매년 3%씩 늘어 2020년에는 30%가 된다. 따라서 현재로선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꾸준히 늘고 있다.
이외에도 풍력, 연료전지, 수소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폐기물에너지, 수력, 해양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종류는 다양하다. 이들 신재생에너지는 모두 지속 가능한 발전과 자연친화적인 부분을 담고 있다.
에너지업계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는 조금이라도 더 나은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인류의 노력이 집약된 결과물"이라며 "장기적이고 적극적인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관심을 집중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40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