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비만


하늘은 높고 말이 살찌는 천고마비의 계절 가을이 찾아왔다. 그런데 사실 가을은 사람이 살찌는 계절이기도 하다. 풍성한 수확의 계절이기 때문. 지난주 추석연휴에 고칼로리 음식을 으리으리하게 먹었다면 벌써 몸이 조금은 불어난 상황일 수도 있다.


직장인 P씨(45세) 원래부터 통통한 몸이었는데 최근 추석연휴 과식과 시원한 바람이 불어 먹는 량이 늘어 잘 맞던 바지가 꽉 끼는 등 몸이 예전같지 않은 것을 느꼈다. 그러다 보니 가끔 허리와 무릎에 부담이 가는 것이 느껴지기 시작했다.

일반적으로 살이 찌니까 허리가 아프다고 하는데 이는 정말 사실이다. 살이 찌면 당연히 허리, 다리, 무릎, 엉덩이 모두가 부담을 느끼게 된다. 척추는 체중의 60%를 지탱하는데 만약 사람의 몸무게가 70Kg이라면 척추가 무려 42Kg을 받들어 줘야 하는 원리다. 당연히 몸무게가 많이 나가면 나갈수록 척추의 부담이 그 만큼 증가되는 원리인 것.


하지만, 단순히 무게의 문제만은 아니다. 오히려 중요한 것이 바로 근육량. 똑같이 70Kg이 나간다고 해도 근육량이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척추가 건강할 확률이 높다.

비만인 사람은 대개 근육량보다 지방량이 훨씬 더 많고 근력도 크게 떨어진다. 때문에 근육이 척추를 지지해 주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지 못해 디스크에 부담이 커지는 것이다. 게다가 비만에 대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경우 복부 비만이 심각한데 복부 비만이 오래되면 복부의 무게 때문에 체중이 앞으로 쏠리게 되고, 요추가 점점 앞으로 향해 활처럼 휘어지게 된다.


이렇게 요추가 앞으로 계속 나가서 휘어지다가 결국 그 힘을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까지 이르게 되며 요추에서 척추신경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약한 부위에 부담이 커지면서 자연히 디스크가 밀려 나와 다리나 허리로 내려가는 신경을 눌러 허리와 다리 통증이 오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요통을 호소하는 드럼통같이 배가 나온 환자의 엑스레이를 찍어보면 대부분 척추의 뼈가 어긋나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체중을 10Kg이상 빼면 척추의 부담이 줄어들어 허리의 통증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복부 비만이 생기면 허리의 자세와 모양도 나빠진다. 배가 나오면 배를 떠받치기 위해 은연중에 자연스럽게 상체를 뒤로 젖히게 되면서 허리의 굴곡이 심해져 결국 비만인 사람의 척추는 무거운 체중에 짓눌리는데다 허리의 자세마저 좋지 않아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

이에 용인분당예스병원의 전재균 원장은 “복부 비만인 경우 허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검진을 통해 허리 상태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며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통해 디스크로 발전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고, 잘못된 요추를 바로잡는 것이 급선무로 생활 속 자세 교정과 스트레칭을 병행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