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대는 10명 중 1명 '치매'...40대 미만도 5년간 50% 가까이 증가
강인귀 기자
5,982
공유하기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 결정자료를 이용하여 ‘치매’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약 21만 7천명에서 2013년 약 40만 5천명으로 5년간 약 18만 9천명(87.2%)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나타났다.
또 총진료비는 2009년 약 5,567억원에서 2013년 약 1조 2,740억원으로 5년간 약 7,173억원(128.8%)이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치매’ 진료인원을 성별로 보면 여성 진료인원의 연평균 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아 남성 대비 여성의 비율이 2009년 2.3에서 2013년 2.5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간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2013년을 기준 70대 이상 구간이 86.9%로 가장 높았고, 60대 9.9%, 50대 2.9% 순으로 나타났다. 40세 미만과 40대 구간은 각각 0.1%, 0.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또 인구 십만명 당 ‘치매’ 진료인원 현황을 보면 70세 이상 구간은 약 1만명으로 10중 1명은 ‘치매’ 진료인원으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층에서 2009년에 비해 진료인원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70세 이상 구간은 2009년에 비해 약 60%정도 증가하였다.
‘치매’는 노인성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증상은 기억력, 언어 능력 등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며, 종류에는 ‘혈관성 치매’,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 등이 있다.
‘치매’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원인에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등이 있으며 우울증, 약물, 알콜 등의 기타원인이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기억력이 저하되고 언어, 판단능력 등의 점차 저하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일상생활에서 지장이 있을 정도로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언어장애, 시간과 장소 혼동 등의 증상이 있으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으며, 의심되는 즉시전문의와 상담, 검진 등을 받도록 해야한다.
치매 검사는 진찰, 혈액검사, 신경심리검사, 뇌 영상 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며, 혈관성 치매의 경우 초기에 발견되면 다른 종류의 치매보다 호전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상근심사위원은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매예방수칙 3‧3‧3’에 나온 것과 같이 운동, 독서 등을 통해 뇌를 사용하고 음주, 흡연 등을 멀리 해야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초기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