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조 원전 부품, 절반 이상 그대로 사용
박성필 기자
2,315
공유하기
![]() |
부산 기장면에 위치한 고리 원전 1호기 /사진=한국수력원자력 |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정의당 김제남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전 부품 중 시험성적서가 위조된 경우는 2116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험성적서 발행기관이 폐업했거나 원본이 폐기되는 등의 이유로 성적서의 진위여부 파악이 안 되는 경우도 1576건으로 파악됐다.
시험성적서 검증과 별개로 실시하는 기기검증(EQ) 과정에서는 위조 사례가 63건, 검증 불가인 경우는 57건 등 총 3812건이 원전 부품의 품질과 성능이 제대로 입증되지 않았다. 이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원전 부품 납품 사례 28만8000여건을 조사한 결과다. 전체 조사 대상 부품 중 1.3%가 성적서 위조 또는 진위확인 불가로 판명된 셈이다.
지난 8월 현재 위조 또는 진위확인 불가 사례 중 해당 부품을 교체한 경우는 570건으로 42.5%에 그쳤다. 문제를 인지하고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608건(45.3%), 차기 예방정비 때 교체하기로 한 것은 164건(12.2%)이었다.
김 의원은 “시험성적서 위조가 확인된 부품이나 품질이 검증되지 않은 부품을 절반 이상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라며 “정상 부품으로도 예기치 않은 고장과 사고가 발생하는 점에 비춰 상식 밖의 처사”라고 지적했다.
한국수력원자력 측은 “시험성적서 위조나 진위판정 불가 대상 부품들은 별도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검사 결과 안전 성능에 전혀 문제가 없는 부품들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