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시 등교제' 51% 가 선택…전라도·외벌이 학부모 찬성비율 높아
강인귀 기자
4,200
공유하기
'9시 등교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거주지역와 경제활동에 따라 학부모들도 엇갈린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www.yoons.com)은 ‘9시 등교제’에 대한 설문 조사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11월 4일과 5일 양일간 실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1.8%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같은 찬반여부는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전라도의 찬성비율이 77.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도(66.1%), 강원도(60.0%), 제주도(50.0%), 충청도(47.8%), 서울(42.9%), 경상도(37.1%) 순이었다.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의견차이도 나타났다. 외벌이의 경우 60.8%가 9시 등교제에 찬성한 반면, 맞벌이의 찬성비율은 43.4%에 그쳤다.
9시 등교제를 찬성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수면시간 확보 등 자녀 건강을 위해’(77.1%)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현재 등교시간이 너무 이르다고 생각돼서’(24.4%), ‘아침시간에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있게 돼서’(20.0%), ‘부모•조부모가 동반하기 더 수월한 시간대여서’(3.9%), ‘하교시간이 늦어지는 만큼 사교육을 줄일 수 있어서’(2.4%)가 뒤를 이었다.
등교시간이 늦춰지면서 발생되는 여유시간에 자녀가 했으면 하는 활동(복수응답)은 ‘아침식사’(57.1%)와 ‘수면’(52.7%)이 주를 이뤘고, ‘독서•신문읽기’(26.3%), ‘가족과의 대화’(15.6%), ‘운동’(13.2%), ‘학과목 공부’(8.8%) 등의 답변도 있었다.
반면 9시 등교제를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는 ‘현재 등교시간이 적절해서’가 59.2%로 1위를 차지했다. ‘부모•조부모가 동반하기 어려운 시간대라서’(34.6%), ‘하교시간이 늦어지기 때문’(31.4%), ‘점심식사 때까지 공복이 길어지기 때문’(12.0%), ‘아침학원 등의 개설로 경제부담이 가중될 것 같아서’(9.4%) 등도 이유로 들었다.
한편 초등학생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8시간 26분, 기상시각은 7시 28분으로 각각 집계됐으며, 약 한 시간의 준비를 거쳐 8시 25분에 등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교시간(도착기준)에 대해서는 80.6%가 ‘적절하다’고 답했고, ‘이르다’는 14.9%, ‘늦다’는 4.5%였다.
등교 시 주된 교통수단은 ‘도보’(81.8%)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자가용’(10.4%)과 ‘스쿨버스’(3.5%)를 이용한다는 대답도 일부 있었다. 이들의 절반 이상(56.8%)은 ‘혼자서’ 등교하고 있었고, ‘부모’(25.0%), ‘형제∙자매’(8.6%), ‘친구’(5.8%), ‘조부모’(3.3%)와 동반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7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www.yoons.com)은 ‘9시 등교제’에 대한 설문 조사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396명을 대상으로 11월 4일과 5일 양일간 실시되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51.8%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같은 찬반여부는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전라도의 찬성비율이 77.3%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도(66.1%), 강원도(60.0%), 제주도(50.0%), 충청도(47.8%), 서울(42.9%), 경상도(37.1%) 순이었다.
경제활동 여부에 따른 의견차이도 나타났다. 외벌이의 경우 60.8%가 9시 등교제에 찬성한 반면, 맞벌이의 찬성비율은 43.4%에 그쳤다.
9시 등교제를 찬성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수면시간 확보 등 자녀 건강을 위해’(77.1%)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현재 등교시간이 너무 이르다고 생각돼서’(24.4%), ‘아침시간에 다른 무언가를 할 수 있게 돼서’(20.0%), ‘부모•조부모가 동반하기 더 수월한 시간대여서’(3.9%), ‘하교시간이 늦어지는 만큼 사교육을 줄일 수 있어서’(2.4%)가 뒤를 이었다.
등교시간이 늦춰지면서 발생되는 여유시간에 자녀가 했으면 하는 활동(복수응답)은 ‘아침식사’(57.1%)와 ‘수면’(52.7%)이 주를 이뤘고, ‘독서•신문읽기’(26.3%), ‘가족과의 대화’(15.6%), ‘운동’(13.2%), ‘학과목 공부’(8.8%) 등의 답변도 있었다.
반면 9시 등교제를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는 ‘현재 등교시간이 적절해서’가 59.2%로 1위를 차지했다. ‘부모•조부모가 동반하기 어려운 시간대라서’(34.6%), ‘하교시간이 늦어지기 때문’(31.4%), ‘점심식사 때까지 공복이 길어지기 때문’(12.0%), ‘아침학원 등의 개설로 경제부담이 가중될 것 같아서’(9.4%) 등도 이유로 들었다.
한편 초등학생들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8시간 26분, 기상시각은 7시 28분으로 각각 집계됐으며, 약 한 시간의 준비를 거쳐 8시 25분에 등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교시간(도착기준)에 대해서는 80.6%가 ‘적절하다’고 답했고, ‘이르다’는 14.9%, ‘늦다’는 4.5%였다.
등교 시 주된 교통수단은 ‘도보’(81.8%)가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자가용’(10.4%)과 ‘스쿨버스’(3.5%)를 이용한다는 대답도 일부 있었다. 이들의 절반 이상(56.8%)은 ‘혼자서’ 등교하고 있었고, ‘부모’(25.0%), ‘형제∙자매’(8.6%), ‘친구’(5.8%), ‘조부모’(3.3%)와 동반한다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