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파업, 정규직과 월급 비교
장효원 기자
9,927
공유하기
![]() |
20일 총파업에 돌입한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임금수준 /사진=뉴스1,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전회련학교비정규직본부 제공 |
‘학교 비정규직’ ‘급식 파업’
불합리한 임금문제와 차별대우 개선을 촉구하며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0일 파업에 돌입했다.
전국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는 지난 17일 정규직과의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며, 20~21일 전국 각 시·도별로 총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번 파업에는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와 전국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조 등 3개 노조 소속 조합원 6만여명 중 2만여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연대회의는 ▲3만원 호봉제(장기근무가산금 상한제 폐지) 도입 ▲정액급식비 13만원 ▲명절휴가비 120% ▲상여금 100% ▲맞춤형복지비 동일적용 등 임금 5대 요구안을 내걸고 있다. 노조는 그 중에서도 3만원 호봉제 도입과 정액급식비, 방학기간 임금미지급 대책 등을 우선적으로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다.
연대회의는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임금격차는 근무일수가 길어질수록 심각해져, 비정규직 영양사의 경우 10년차 정규직(347만)과 비정규직(189만) 월급 차이는 약 158만원 차이로 거의 두 배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규직은 월 13만원씩 식대를 받으나 비정규직은 그나마도 없다”며 “명절 상여조차 정규직(본봉 60%)에 비해 비정규직은 10만~20만원 받는데 고작”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학교비정규직들은 '학교회계직'이라는 학교회계에서 급여가 지급되는 대상자라는 의미로 불려왔으나 '교육공무직'이라는 명칭은 학교에 꼭 필요한 노동을 하는 학교비정규직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