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지분 매각 입찰이 28일 마감되는 가운데 정부의 민영화 시도가 성사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사진=뉴시스
우리은행 지분 매각 입찰이 28일 마감되는 가운데 정부의 민영화 시도가 성사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사진=뉴시스


우리은행 지분 매각 입찰이 28일 마감되지만 불발로 끝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경영권 지분(30%) 입찰이 이날 오후 5시까지 마감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입찰 참여의사를 제시한 곳이 단 한곳도 없다. 결과적으로 유효경쟁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매각 자체가 실패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동안 유력 후보로 거론된 교보생명의 경우 지난 25일 경영위원회를 열어 우리은행 인수 참여 여부를 논의했지만 해외투자자 등과의 의견 조율 등을 이유로 논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교보생명은 그동안 대만과 홍콩 투자회사와 접촉한 것으로 전해졌다.

입찰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되었던 중국 안방보험 역시 현재까지 불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교보생명과 중국 안방보험이 이번 입찰에 참여한다고 해도 정부의 심사 기준을 통과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8일 오전 회의를 열고 입찰 마감시간에 맞춰 심사기준을 마련한 후 입찰자들에게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심사기준에는 당초 발표된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빠른 민영화, 국내금융산업 발전 등 우리금융 매각 원칙을 실현할 수 있는 조항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에선 교보생명과 안방보험이 이같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교보의 경우 신창재 회장이 개인 대주주라 공공성 강한 은행을 넘긴다는 문제를 안게 된다.

안방보험의 경우에는 국부유출 우려가 제기된다. 여기에 입찰 제시가격도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매각 적정 가격은 3조원 내외로 추산되는데 반해 중국 안방보험이 현지 사모투자(PE)들과의 컨소시엄 구성 협의 과정에서 제시한 우리은행 인수가격은 7000억~1조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정부가 우리은행 매각에 실패할 경우 경영권 지분 매각 대신 모든 지분을 소수지분으로 쪼개 파는 방안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성사 가능성이 낮은 경영권 매각을 계속 고수하는 것보단 전부 소수지분 입찰로 전환한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