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넘쳐나는 ELS, '니꺼 아닌 내꺼' 찾기
정채희 기자
3,697
공유하기
초저금리시대를 맞아 ELS(주가연계파생결합증권) 상품이 쏟아진다. ELS란 주식에 연계된 증권을 뜻하며 정해진 조건에 만족하면 약속한 수익률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삼성전자·현대차 등과 같은 개별주식이나 코스피200지수·홍콩H지수 등과 같은 주가지수, 즉 기초자산의 가격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기 때문에 시중에 쏟아지는 상품 모두 ELS란 상품명만 같을 뿐 기초자산이나 만기일자 등은 각기 다른 특성이 있다.
따라서 초저금리시대의 재테크 투자처로 ELS를 선택한 투자자는 또다시 수많은 갈림길에 섰다. 각양각색의 ELS, '똑소리'나게 고르는 법은 없을까.
◆첫 ELS투자, 원금손실 최소화
ELS는 원금보장형부터 비보장형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더러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상품구조가 나뉜다. 주가가 상승했을 때에만 이익을 보는 주식투자와 달리 하락과 상승 시 또는 횡보할 때도 일정수익을 얻는 것이 ELS의 장점이다.
문제는 ELS의 구조가 다양한 만큼 투자자의 성향과 자금이용시기, 시장상황 등에 따라 ELS의 선택도 달라야 한다는 것. 전문가들은 자금의 사용목적과 사용시기, 기대수익률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잡혀야 ELS 투자에 대한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고 조언한다.
ELS에 처음 도전하는 투자자라면 원금손실 가능성이 낮고 최대한 빨리 조기상환 될 수 있는 상품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원금보장형 삼품은 예금자보호법이 아닌 발행사의 신용으로 원금을 보장한다. 따라서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는 만큼 신용도가 높은 증권사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원금비보장형 상품도 몇가지만 알면 비교적 안전한 투자가 가능하다. ▲기초자산 변동성이 크지 않은 종목 ▲조기상환조건이 유리한 ELS ▲원금손실조건이 낮거나 없는 상품 등이다.
단기자금으로 고수익을 바라는 투자자라면 ELS 투자에 주의를 기울이는 편이 좋다. ELS는 중·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으로 3년 정도는 여유를 두고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을 투자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시중금리보다 2~3배 높은 수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성향 따라 다양한 선택
투자성향도 ELS 선택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지난 2011년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가 펴낸 <행복한 삶을 누려라>에 따르면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원하는 '저위험' 투자자와 리스크보다 수익을 얻기 원하는 '고위험' 투자자로 투자성향이 구분된다.
먼저 예·적금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며 원금손실을 원치 않는 '안정추구형'의 투자자는 저위험의 '원금보장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가 알맞다.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일정수준의 손실위험까지 감수할 수 있는 '위험중립형' 투자자는 중위험의 '원금부분보장형 ELS'를 선택해야 한다.
고위험군에서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으로 나뉜다. 투자원금 보전보다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원금비보장형 지수형 ELS'를, 시장평균 수익률을 훨씬 넘는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을 원하며 이를 위해 손실위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공격투자형이라면 '원금비보장형 개별주식형 ELS'를 선택할 것을 추천한다.
다만 지난해부터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조정된 것은 투자 시 참고해야 할 유의사항 중 하나다. 금융소득이 많은 투자자라면 절세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 구혜미 한국투자증권 종합자산관리사는 "조기상환기준을 85% 수준으로 낮춘 ELS를 선택하거나 수익률이 다소 못 미치더라도 단기형 ELS, 월지급식 ELS를 선택하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삼성전자·현대차 등과 같은 개별주식이나 코스피200지수·홍콩H지수 등과 같은 주가지수, 즉 기초자산의 가격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기 때문에 시중에 쏟아지는 상품 모두 ELS란 상품명만 같을 뿐 기초자산이나 만기일자 등은 각기 다른 특성이 있다.
따라서 초저금리시대의 재테크 투자처로 ELS를 선택한 투자자는 또다시 수많은 갈림길에 섰다. 각양각색의 ELS, '똑소리'나게 고르는 법은 없을까.
![]() |
◆첫 ELS투자, 원금손실 최소화
ELS는 원금보장형부터 비보장형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더러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상품구조가 나뉜다. 주가가 상승했을 때에만 이익을 보는 주식투자와 달리 하락과 상승 시 또는 횡보할 때도 일정수익을 얻는 것이 ELS의 장점이다.
문제는 ELS의 구조가 다양한 만큼 투자자의 성향과 자금이용시기, 시장상황 등에 따라 ELS의 선택도 달라야 한다는 것. 전문가들은 자금의 사용목적과 사용시기, 기대수익률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잡혀야 ELS 투자에 대한 첫걸음을 내디딜 수 있다고 조언한다.
ELS에 처음 도전하는 투자자라면 원금손실 가능성이 낮고 최대한 빨리 조기상환 될 수 있는 상품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원금보장형 삼품은 예금자보호법이 아닌 발행사의 신용으로 원금을 보장한다. 따라서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는 만큼 신용도가 높은 증권사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원금비보장형 상품도 몇가지만 알면 비교적 안전한 투자가 가능하다. ▲기초자산 변동성이 크지 않은 종목 ▲조기상환조건이 유리한 ELS ▲원금손실조건이 낮거나 없는 상품 등이다.
단기자금으로 고수익을 바라는 투자자라면 ELS 투자에 주의를 기울이는 편이 좋다. ELS는 중·장기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으로 3년 정도는 여유를 두고 운용할 수 있는 자금을 투자하는 것이 좋다. 또한 시중금리보다 2~3배 높은 수익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투자성향 따라 다양한 선택
투자성향도 ELS 선택의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지난 2011년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가 펴낸 <행복한 삶을 누려라>에 따르면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원하는 '저위험' 투자자와 리스크보다 수익을 얻기 원하는 '고위험' 투자자로 투자성향이 구분된다.
먼저 예·적금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하며 원금손실을 원치 않는 '안정추구형'의 투자자는 저위험의 '원금보장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가 알맞다. 예·적금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일정수준의 손실위험까지 감수할 수 있는 '위험중립형' 투자자는 중위험의 '원금부분보장형 ELS'를 선택해야 한다.
고위험군에서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으로 나뉜다. 투자원금 보전보다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라면 '원금비보장형 지수형 ELS'를, 시장평균 수익률을 훨씬 넘는 높은 수준의 투자수익을 원하며 이를 위해 손실위험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공격투자형이라면 '원금비보장형 개별주식형 ELS'를 선택할 것을 추천한다.
다만 지난해부터 금융소득종합과세 기준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조정된 것은 투자 시 참고해야 할 유의사항 중 하나다. 금융소득이 많은 투자자라면 절세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 구혜미 한국투자증권 종합자산관리사는 "조기상환기준을 85% 수준으로 낮춘 ELS를 선택하거나 수익률이 다소 못 미치더라도 단기형 ELS, 월지급식 ELS를 선택하는 것이 세금을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