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창업을 생각하는 50대 은퇴자 김선달씨, 뉴스에서는 창업 5년 안에 폐업률 70%라는 발표가 나와 걱정이 많다.


창업을 하려고 보니 주변에 카페는 많은 것 같은데 얼마나 되는지, 실제로 얼마나 유지되었는지 궁금하다. 평소에 생각한 입지나 타겟 연령층, 주력 메뉴는 있지만 과연 잘 될 것인지 자신이 없고, 창업 비용도 얼마인지 정확히 알기 어렵다.

이러한 김씨의 고민은 상권분석 컨설팅을 통하여 말끔히 해결되었다. 지역별 상권추이·유동인구·과밀업종정보 등을 종합 분석, 최적의 조건으로 창업할 수 있었고, 1년이 지난 지금은 상권분석 컨설팅을 다시 활용, 2호점 개업을 고려중이다.

이같은 도움을 주기위해 정부는 부동산 종합정보, 전국 상가․상권정보, 진료․투약․건강 정보 등 국민 실생활에 파급효과가 높은 10대 분야 대용량 데이터를 2015년에 집중 개발한다.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국무총리 소속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 의결을 거쳐 이러한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국가 중점개방 데이터 개방계획」을 지난 2014년 12월 30일(화) 발표했다.

국토부는 전국 680만개이상의 건축물 정보, 토지정보, 공시지가 등 개별적으로 관리하던 23종 부동산서류를 공간정보와 통합하여 무료로 개방한다.


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카페, 음식점 등 전국 270만개 상가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나, 빈번한 창업․폐업으로 10% 정도의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향후 SKT, 네이버, BC카드 등과 정보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정비․개방하게 되면, 과밀지수, 유사․경쟁업소 정보제공을 통해 자영업 성공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 창업 컨설팅 산업이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영업 폐업율 10% 감소시 연간 2,300억원의 사회적 비용 절감된다.


정재근 행정자치부 차관은 “개방 즉시 민간에서 활용가능한 수준의 고가치․고수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해 나갈 것”이라며, “또한, 데이터 개방이 창업으로 이어지도록 아이디어 발굴부터 사업화까지 일괄 지원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