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는 추위 때문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기 마련이다. 이렇게 야외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철에는 비타민D가 부족할 수 있는데, 비타민D 결핍은 여러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9∼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비타민D 결핍(E55)’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2009년 2027명에서 2013년 1만8637명으로 4년 동안 9배 이상 증가했다. 또 2013년을 기준으로 할 때 비타민D가 부족한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약 2.8배 많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료인원이 많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비타민 D는 자외선에 의해 자극을 받은 피하지방 속 콜레스테롤의 일종인 프로비타민 D가 전환되면서 만들어진다. 혈액을 타고 간과 콩팥을 거치면서 활성비타민으로 바뀐다. 비타민 D는 호르몬처럼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데, 비타민D가 부족할 경우 다양한 부작용이 일어난다.

특히 뇌와 비타민D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뇌세포에는 비타민D 수용체가 있기 때문에 비타민D는 뇌건강을 위해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 중 하나다. 임신부의 경우 비타민D가 부족하면 태아도 비타민 D를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뇌세포 발달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뇌졸중 분야 권위지 ‘뇌졸중(Stroke)’ 1월호에 실린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타민 D가 부족하면 혈관의 경직도가 심해져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뇌졸중으로 입원치료 중이거나 일시적 뇌졸중 증세로 병원을 찾은 759명을 대상으로 혈중 비타민 D 수치와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타민 D가 부족할 경우 뇌졸중 위험이 커진다고 밝힌 바 있다.


비타민D는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는 영양소로,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햇볕을 통해 체내에서 합성할 수 있다. 비타민D 부족을 막기 위해서는 하루 15~20분 정도 햇빛을 쬐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실천하는 것은 힘든 일이다.

햇빛 부족한 겨울, 비타민D 결핍 주의해야
겨울처럼 햇볕을 적게 쐬거나 자외선의 강도가 낮아 비타민 D 합성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 때는 동물의 간, 삼치, 참치, 고등어, 연어, 장어, 계란 등 동물성 식품과 표고, 느타리, 팽이, 송이 등 버섯류를 통해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야외 활동 기회가 적고 식품을 통해 비타민D를 섭취하는 것이 번거롭다면 비타민D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대안이다.

와 관련해 고려은단은 스위스산 비타민D 보충제인 메가도스D를 선보였다. 흡수율이 좋은 비타민D3 형태로 1000IU, 영양소 기준치 대비 500%가 함유돼 있는 고함량 비타민D 제품으로, 바닐라향 코팅으로 냄새를 최소화해 편안하게 섭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제공=고려은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