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어깨 통증은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약 7%에서 나타나는 질환으로 성인의 경우는 60%가 한번 이상 경험하게 되는 흔한 증상 중 하나다.

이는 어깨 관절이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관절이기 때문. 그래서 관련 질환이 50여 가지가 넘는다.


그중 회전근개파열은 어깨뼈를 덮고 있는 네 개의 근육이 합해져서 하나처럼 된 회전근개라는 힘줄이 외부의 압박 등으로 손상을 입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어깨 관절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나 운동선수들에게 쉽게 발생하며, 오십견이 주로 40~50대에 발생하는 것과는 달리 연령에 구분 없이 발생한다.

그런데 회전근개파열이 흔한 질환이긴 하지만 어깨 부의 운동 제한이 나타나고 밤에 자려고 누웠을 때 통증이 심해지는 등 어깨 관절 질환의 기본적인 증상이 나타나기에 병명을 단정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어깨 통증의 확한 원인을 알기 위해서는 전문의를 찾아 정밀한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 용인분당예스병원의 양형섭 원장은 “회전근개 파열은 엑스레이와 MRI를 통한 정밀진단이 가능하며, 심하지 않는 경우 진통소염제물리치료, 관절주사치료로 질환의 회복을 증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겨울철 어깨 관절 관리의 키워드는 보온이다. 어깨를 따뜻하게 해 추위로부터 경직된 어깨관절을 풀어주는 것이 좋으며, 평소 적절한 운동을 통해 어깨 주변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