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김밥 전문점 창업은 어때..
강동완 기자
5,196
공유하기
포탈사이트에서 김밥집의 분포도를 검색해보면 전국적으로 김밥집은 1만 7,054개의 김밥집이 노출되고 있다.
이중에서 서울 3,535개, 경기 3,561개, 인천 1,077개 등 서울수도권에만 전체 김밥집의 48%가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상권중에서는 부산 1,258개, 경남 1,255개, 대구 987개, 경북 762개, 충남 731개, 대전 616개, 광주 613개, 전북 579개, 전남 565개, 충북 507개, 강원 437개, 울산 334개, 제주 186개의 김밥집이 영업 중이다.
스타드비즈니스 창업통 김상훈 소장은 자신의 블러그(http://blog.naver.com/startceo)를 통해 김밥전문점 아이템의 장단점을 소개했다.
김밥전문점 프랜차이즈를 진행하는 업체수는 전국적으로 40-50개 이상 업체가 영업중 것으로 판단된다.
김밥전문점의 프랜차이즈 브랜드으로서 최초 론칭했던 것은 1990년 중반 서울 대학로상권에서 ‘쌍둥이김밥’, ‘종로김밥’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테마김밥으로는 통영에서 시작된 충무김밥도 있지만, 당시 ‘종로김밥’에서 즉석김밥전문점을 본격적으로 프랜차이즈화 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후 대학로상권에서 독립매장 형태로 운영하던 ‘김가네 김밥’이 프랜차이즈 시장에 뛰어들면서 본격적인 김밥집의 프랜차이즈 시대를 열었다고 볼 수 있다. 김가네 김밥이 체인화되면서 이후 수많은 즉석김밥 브랜드가 출현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현재 김밥시장은 '대학로 김가네 김밥' '바르다김선생' '가마솥김밥' '바푸리김밥' 등이 프랜차이즈 김밥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 국내 김밥전문점, 현 시점에서의 라이프싸이클은?
2013년 이후 메뉴의 차별화 및 시설차별화를 시도한 프리미엄 김밥집이 바통을 이어받아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5년 현시점에서의 김밥집의 라이프사이클은 성숙기의 정점에서 평행선의 사이클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맛과 영양이 좋고 간편식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에서 김밥전문점은 미래의 창업시장에서도 좋은 창업아이템인 것은 분명하다.
특히 불황에는 음식점도 예외없이 매출하락을 보이는데 반하여 김밥전문점은 오히려 불황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직장인층 같은 수요층을 김밥집의 매출을 확대시키면서 매출증대로 이어지는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많은 김밥전문점 관련 브랜드들이 출시 되어 있어서 경쟁 또한 치열하다.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독립점 매장이라고 하더라도 프랜차이즈 매장 못지 않은 상품경쟁력, 시설경쟁력, 서비스경쟁력을 갖추어야만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김밥과 어우러질 수 있는 부가아이템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최근 프리미엄김밥집에서 김밥과 갈비향나는 만두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은 이러한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 김밥전문점 창업을 위한 체크포인트?
프리미엄 김밥집의 다음 버젼을 고려한 출점 컨셉을 잡아야 한다. 상품의 질, 가격차별화, 시설경쟁력, 서비스경쟁력, 수요층의 한정 등 어떤 컨셉의 김밥집을 오픈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기존의 프리미엄 깁밥집에서 부족한 포인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메뉴인 김밥 외 부가메뉴의 경쟁력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의 김밥과 떡볶이, 김밥과 튀김, 김밥과 우동, 김밥과 만두, 김밥과 쫄면, 김밥과 집밥 등 어떤 메뉴를 김밥의 동반메뉴, 구색메뉴로 결정할지를 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중에서 서울 3,535개, 경기 3,561개, 인천 1,077개 등 서울수도권에만 전체 김밥집의 48%가 집중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상권중에서는 부산 1,258개, 경남 1,255개, 대구 987개, 경북 762개, 충남 731개, 대전 616개, 광주 613개, 전북 579개, 전남 565개, 충북 507개, 강원 437개, 울산 334개, 제주 186개의 김밥집이 영업 중이다.
![]() |
▲ 제공=창업통 블러그 (http://blog.naver.com/startceo/220242253941) |
스타드비즈니스 창업통 김상훈 소장은 자신의 블러그(http://blog.naver.com/startceo)를 통해 김밥전문점 아이템의 장단점을 소개했다.
김밥전문점 프랜차이즈를 진행하는 업체수는 전국적으로 40-50개 이상 업체가 영업중 것으로 판단된다.
김밥전문점의 프랜차이즈 브랜드으로서 최초 론칭했던 것은 1990년 중반 서울 대학로상권에서 ‘쌍둥이김밥’, ‘종로김밥’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테마김밥으로는 통영에서 시작된 충무김밥도 있지만, 당시 ‘종로김밥’에서 즉석김밥전문점을 본격적으로 프랜차이즈화 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후 대학로상권에서 독립매장 형태로 운영하던 ‘김가네 김밥’이 프랜차이즈 시장에 뛰어들면서 본격적인 김밥집의 프랜차이즈 시대를 열었다고 볼 수 있다. 김가네 김밥이 체인화되면서 이후 수많은 즉석김밥 브랜드가 출현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다.
현재 김밥시장은 '대학로 김가네 김밥' '바르다김선생' '가마솥김밥' '바푸리김밥' 등이 프랜차이즈 김밥시장을 이끌어 가고 있다.
◇ 국내 김밥전문점, 현 시점에서의 라이프싸이클은?
2013년 이후 메뉴의 차별화 및 시설차별화를 시도한 프리미엄 김밥집이 바통을 이어받아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5년 현시점에서의 김밥집의 라이프사이클은 성숙기의 정점에서 평행선의 사이클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맛과 영양이 좋고 간편식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바쁜 일상에서 김밥전문점은 미래의 창업시장에서도 좋은 창업아이템인 것은 분명하다.
특히 불황에는 음식점도 예외없이 매출하락을 보이는데 반하여 김밥전문점은 오히려 불황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직장인층 같은 수요층을 김밥집의 매출을 확대시키면서 매출증대로 이어지는 측면이 크기 때문이다.
많은 김밥전문점 관련 브랜드들이 출시 되어 있어서 경쟁 또한 치열하다.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독립점 매장이라고 하더라도 프랜차이즈 매장 못지 않은 상품경쟁력, 시설경쟁력, 서비스경쟁력을 갖추어야만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김밥과 어우러질 수 있는 부가아이템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고 본다. 최근 프리미엄김밥집에서 김밥과 갈비향나는 만두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것은 이러한 트렌드를 잘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 김밥전문점 창업을 위한 체크포인트?
프리미엄 김밥집의 다음 버젼을 고려한 출점 컨셉을 잡아야 한다. 상품의 질, 가격차별화, 시설경쟁력, 서비스경쟁력, 수요층의 한정 등 어떤 컨셉의 김밥집을 오픈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기존의 프리미엄 깁밥집에서 부족한 포인트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메뉴인 김밥 외 부가메뉴의 경쟁력을 고려해야 한다,. 기존의 김밥과 떡볶이, 김밥과 튀김, 김밥과 우동, 김밥과 만두, 김밥과 쫄면, 김밥과 집밥 등 어떤 메뉴를 김밥의 동반메뉴, 구색메뉴로 결정할지를 정하는 것이 관건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