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샤브샤브 먹는 방법도 다르네
강동완 기자
11,985
공유하기
샤부샤부, ‘한-중-일’ 입맛 따라 고른다
따끈한 육수에 얇게 저민 육류와 야채를 살짝 데쳐먹는 샤부샤부는 아직 채가시지 않은 추위를 잊고 영양을 보충하기에 좋은 음식이다. 게다가 신선한 야채 특유의 아삭한 식감으로 봄기운까지 느낄 수 있어 봄철 보양식으로 제격이다.
샤부샤부라는 단어는 1952년에 오사카의 식당 "스에히로”에서 처음 소개한 것으로, 일본어의 ‘살짝살짝’, ‘찰랑찰랑’을 의미한다.
다만 야채, 고기, 해물 등을 육수에 살짝 데쳐 먹는다는 샤부샤부의 스타일은 한중일을 비롯해 태국 등 국물요리가 발달한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재료나 형태가 달라져 입맛대로 즐길 수 있다는 묘미가 생겼다.
◇ 한국식 샤부샤부 - 칼국수와 죽으로 마지막까지 즐겨
1990년대 상류층의 고급요리로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한 샤부샤부는 야채와 고기를 모두 먹은 후 칼국수, 죽 등을 넣어 자작한 국물을 끝까지 즐기는 점이 태국식 수끼(SUKI)와 유사하다.
또 일본식 육수보다 조금 더 칼칼하고, 중국보다는 담백한 육수를 써 매콤하면서도 기름지지 않은 샤부샤부를 맛볼 수 있다.
이랜드 외식사업부에서 전개하는 ‘로운 샤브샤브’는 샤부샤부와 무제한 샐러드바를 결합했다. 샐러드 바를 통해 8종의 샐러드와 13종의 신선한 채소, 8종의 디저트 뿐만 아니라 취향에 따라 칼국수, 야채죽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평일 런치는 9,900원이며 디너 및 주말, 공휴일에는 쇠고기 무제한에 15,9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을 책정해 외식비용의 부담을 줄였다.
◇ 일본식 샤부샤부 – 다양한 종류의 육수와 재료, 은은한 단맛
일본은 사골, 미소(일본식 된장)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육수가 존재하나, 기본적으로 한국식 샤부샤부 육수보다 비교적 달착지근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홍대 ‘레타스’에서는 일본식 샤부샤부를 무한 리필 방식으로 제공한다. 특히 콘부육수, 스키야키, 두유된장, 칠리토마토, 카레 등 총 5가지 육수를 취향대로 골라먹을 수 있다. 또한 각 테이블마다 인덕션이 따로 제공되어 깔끔하게 1인 샤부샤부를 즐길 수 있다.
광화문에 위치한 ‘일품당’에서는 샤부샤부와 스키야키(전골)를 함께 선보인다. 개인별로 모두 인덕션이 제공되어 샤부샤부와 스키야키 중 원하는 메뉴를 골라먹을 수 있다. 국내산 한우, 대게, 굴, 버섯 등 다양한 옵션의 샤부샤부 세트를 제공해 선택의 폭이 넓은 편이다.
◇ 중국식 샤부샤부 – 따로 담은 홍탕과 백탕으로 두 가지 맛을 한번에
국내에서 ‘중국식 샤부샤부’라고 불리고 있는 ‘훠궈’는 진한 육수를 사용한다. 소, 양, 돼지, 닭 등 다양한 육류는 물론 생선을 비롯한 해물, 야채 등 재료 역시 취향에 따라 다양하다.
게다가 반원이나 태극 무늬로 나뉘어진 냄비에 한 쪽은 고추기름을 넣어 알싸한 맛을 내는 홍탕(붉은 육수)과 한쪽에는 담백한 백탕(흰 육수)을 시켜 두 가지 맛을 한번에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
역삼동 ‘불이야’에서는 반원형으로 나뉜 원앙 냄비를 통해 현지처럼 홍탕과 백탕을 동시에 제공한다. 기본 정식에 양고기와 소고기를 함께 제공해 전통적인 훠궈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인들도 많이 찾을 정도로 본토의 맛에 가까운 훠궈를 선보이고 있다.
‘샤오훼이양’은 전 세계 700여 개의 지점을 가지고 있는 대형 훠궈 프랜차이즈로, 국내에는 삼성동과 홍대점이 있다. 훠궈는 양고기가 대표적이지만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을 위해 소고기 옵션을 제공하며 1인용 냄비와 개인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
따끈한 육수에 얇게 저민 육류와 야채를 살짝 데쳐먹는 샤부샤부는 아직 채가시지 않은 추위를 잊고 영양을 보충하기에 좋은 음식이다. 게다가 신선한 야채 특유의 아삭한 식감으로 봄기운까지 느낄 수 있어 봄철 보양식으로 제격이다.
샤부샤부라는 단어는 1952년에 오사카의 식당 "스에히로”에서 처음 소개한 것으로, 일본어의 ‘살짝살짝’, ‘찰랑찰랑’을 의미한다.
다만 야채, 고기, 해물 등을 육수에 살짝 데쳐 먹는다는 샤부샤부의 스타일은 한중일을 비롯해 태국 등 국물요리가 발달한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특성과 취향에 따라 재료나 형태가 달라져 입맛대로 즐길 수 있다는 묘미가 생겼다.
◇ 한국식 샤부샤부 - 칼국수와 죽으로 마지막까지 즐겨
1990년대 상류층의 고급요리로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한 샤부샤부는 야채와 고기를 모두 먹은 후 칼국수, 죽 등을 넣어 자작한 국물을 끝까지 즐기는 점이 태국식 수끼(SUKI)와 유사하다.
또 일본식 육수보다 조금 더 칼칼하고, 중국보다는 담백한 육수를 써 매콤하면서도 기름지지 않은 샤부샤부를 맛볼 수 있다.
![]() |
▲ 로운샤브샤브 (제공=이랜드 외식사업부) @머니위크MNB, 유통 · 프랜차이즈 & 창업의 모든 것 |
이랜드 외식사업부에서 전개하는 ‘로운 샤브샤브’는 샤부샤부와 무제한 샐러드바를 결합했다. 샐러드 바를 통해 8종의 샐러드와 13종의 신선한 채소, 8종의 디저트 뿐만 아니라 취향에 따라 칼국수, 야채죽까지 다양하게 즐길 수 있다.
평일 런치는 9,900원이며 디너 및 주말, 공휴일에는 쇠고기 무제한에 15,900원이라는 합리적인 가격을 책정해 외식비용의 부담을 줄였다.
◇ 일본식 샤부샤부 – 다양한 종류의 육수와 재료, 은은한 단맛
일본은 사골, 미소(일본식 된장)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육수가 존재하나, 기본적으로 한국식 샤부샤부 육수보다 비교적 달착지근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홍대 ‘레타스’에서는 일본식 샤부샤부를 무한 리필 방식으로 제공한다. 특히 콘부육수, 스키야키, 두유된장, 칠리토마토, 카레 등 총 5가지 육수를 취향대로 골라먹을 수 있다. 또한 각 테이블마다 인덕션이 따로 제공되어 깔끔하게 1인 샤부샤부를 즐길 수 있다.
광화문에 위치한 ‘일품당’에서는 샤부샤부와 스키야키(전골)를 함께 선보인다. 개인별로 모두 인덕션이 제공되어 샤부샤부와 스키야키 중 원하는 메뉴를 골라먹을 수 있다. 국내산 한우, 대게, 굴, 버섯 등 다양한 옵션의 샤부샤부 세트를 제공해 선택의 폭이 넓은 편이다.
◇ 중국식 샤부샤부 – 따로 담은 홍탕과 백탕으로 두 가지 맛을 한번에
국내에서 ‘중국식 샤부샤부’라고 불리고 있는 ‘훠궈’는 진한 육수를 사용한다. 소, 양, 돼지, 닭 등 다양한 육류는 물론 생선을 비롯한 해물, 야채 등 재료 역시 취향에 따라 다양하다.
게다가 반원이나 태극 무늬로 나뉘어진 냄비에 한 쪽은 고추기름을 넣어 알싸한 맛을 내는 홍탕(붉은 육수)과 한쪽에는 담백한 백탕(흰 육수)을 시켜 두 가지 맛을 한번에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
역삼동 ‘불이야’에서는 반원형으로 나뉜 원앙 냄비를 통해 현지처럼 홍탕과 백탕을 동시에 제공한다. 기본 정식에 양고기와 소고기를 함께 제공해 전통적인 훠궈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중국인들도 많이 찾을 정도로 본토의 맛에 가까운 훠궈를 선보이고 있다.
‘샤오훼이양’은 전 세계 700여 개의 지점을 가지고 있는 대형 훠궈 프랜차이즈로, 국내에는 삼성동과 홍대점이 있다. 훠궈는 양고기가 대표적이지만 익숙하지 않은 고객들을 위해 소고기 옵션을 제공하며 1인용 냄비와 개인 화로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