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열린 ‘최저임금 인상촉구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 뉴스1 한재호 기자
지난해 열린 ‘최저임금 인상촉구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 뉴스1 한재호 기자
우리나라 최저임금이 세계경제협력기구(OECD) 가운데 중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노사정위원회의 임금보고서와 한국경영자총협회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기준 우리나라 연간 환산 최저임금은 1만2038달러로 OECD 25개국 가운데 14위에 올랐다.

최저임금은 호주(3만839달러)를 선두로 프랑스(2만2788달러, 7위), 영국(2만226달러 9위), 일본(1만6043달러, 10위), 미국(1만5080달러, 11위) 등이 한국보다 높았다. 스페인(1만1995달러, 15위), 터키(6만304달러, 18위), 멕시코(285달러, 25위) 등은 한국보다 낮았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에 대비한 최저임금(시장환율 기준)은 OECD 회원국과 주요 신흥경제국 26개국 가운데 12위 수준이다. 한국을 100.0으로 봤을 때 베트남(180.2), 독일(155.3), 프랑스(143.9), 인도네시아(135.1), 영국(129.2), 중국(113.9)이 한국보다 높았다. 터키(99.9), 호주(91.6), 일본(71.6), 미국(63.7)은 낮았다.

한편 노동계는 국내 기업소득과 가계소득 간 불균형과 함께 최저임금이 표준 생계비를 충당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최저임금의 현실화를 주장한다. 특히 생계비에 못 미치는 임금 상승을 위해 우선 최저생계비를 인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