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에듀,
스카이에듀(www.skyedu.com)는 오늘(10일)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수험생 성적 향상을 이끄는 획기적인 교육 콘텐츠 개발과 수험생 가격 부담을 덜어주는 파격적인 가격 정책을 통해 입시 업계의 지형을 바꾸고 글로벌 NO.1 교육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스카이에듀는 지난 1월 고등 인터넷 강의(이하 인강) 유료사이트 순 이용자 수 집계 결과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수능 사이트 1위(닐슨코리안클릭 조사, PC-모바일 통합)에 올라 14년 만에 수능업계 1위를 바꿨다.


스카이에듀 측은 이처럼 눈부신 성장을 해온 비결은 수험생에게 가장 중요한 성적 상승 콘텐츠와 가격 혁신 등 기존 국내 업계에서 시도하지 않은 글로벌 혁신 기업의 성공 모델을 기반으로 국내 교육업계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존 업계가 수강생의 성적 향상을 고려치 않고 단순히 강좌 판매량을 높이는 것에만 목적을 둔 반면, 스카이에듀는 업계 최초로 실제로 단기에 성적이 오른 수험생들의 학습 습관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고안한 ‘단기고득점론’을 통해 수강생의 성적을 올리는 커리큘럼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라는 것.


단기고득점론은 수능역전자(1년 안에 2등급 이내로 접수가 급상승, in서울 합격에 성공한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몰려있는 대치동 시크릿을 분석하고, 자신의 약점을 줄이며 문제풀이를 반복하는 역전자들의 자기 주도 학습법을 담아낸 학습법이다.

또한 수능 수준이 아닌 문제는 오히려 방해만 된다는 것을 강조하며, EBS 집필진을 비롯한 최고 수준의 출제진을 보유해 수능 수준의 급이 다른 문제를 제공하고 있다는 업체 측 설명이다.


한편 스카이에듀 김진우 대표는 “스카이에듀의 궁극적인 목표는 글로벌 No.1 교육기업이다. 이를 위해 과거 외국계 컨설팅회사에서 일하며 익힌 넷플릭스, 이케아 등의 글로벌 성공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벤치마킹, 스카이에듀의 비즈니스 모델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게 갖추어 나가고 있다. 가격은 낮추고 콘텐츠 질은 끌어올리는 교육 서비스 시스템을 토대로 각 현지 실정에 맞게 적용한다면 전 세계 교육 시장에서 K-EDU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미지제공=스카이에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