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해킹, 김영환 "정부 안전불감증 재앙수준… 사이버 보안 대수술 필요"
정채희 기자
4,815
공유하기
![]() |
한수원 해커' /사진=해당 트위터 캡쳐 |
김영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3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해킹 사태와 관련,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수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원전 자료 유출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계기로 국가사이버 보안망을 처음부터 새로 짜야 한다”며 “원전뿐만 아니라 전력계통, 교통, 국방 등 국가주요기반시설에 대한 보안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가능하다면 해킹가능시험을 실시하고 사이버 보안의 허점을 정확히 파악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김 의원은 한수원 해킹 사태가 일어나기 전인 지난 2010년 6월 18대 국회 지식경제위원장 역임 당시 전력계통은 물론 교통·국방 등 국가주요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이 허술하다는 경고를 수차례 공개적으로 한 바 있다.
그는 이어 “지식경제부(현 산업자원부) 장관 당시에도 한수원 사장에게 이를 경고하며 실제 사이버테러에 안전한지 실험해보자는 제안도 여러 차례 했다”며 “그러나 번번이 관계당국은 ‘단순한 의심에 지나지 않는다. 절대 그럴 일은 없다’는 답만 되풀이했다”고 밝혔다.
이에 “정부의 안전불감증은 재앙 수준”이라며 “실시간으로 해커를 모니터링하고 추적할 수 있는 실시간 해킹추적 대응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원전반대그룹’은 공개적으로 돈을 요구하며 또 다시 원전 해킹 자료를 공개했다.
자신을 원전반대그룹이라고 밝힌 이 해커는 지난 12일 오후 SNS를 통해 ‘대한민국 한수원 경고장’이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원전 관련 도면과 통화내역 녹취록 속기 한글파일, 실험과정을 담은 동영상 등 총 25개의 파일을 공개했다.
이 해커는 "돈이 필요하다. 요구만 들어주면 되겠는데"라며 "북유럽과 동남아, 남아메리카의 여러 나라에서 원전 자료를 사겠다고 하는데 자료를 통째로 팔았다가 박 대통령의 원전수출에 지장이 될까봐 두렵다. 윤 장관(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시간을 좀 주겠으니 잘 생각해봐라"고 올렸다.
또 “몇억 달러 아끼려다 더 큰 돈을 날리지 말고 현명한 판단을 하길 바란다”며 “요구에 응하려면 장소와 시간은 너희들이 정하라”고 말했다. 연락을 취할 수 있는 이메일 주소까지 남겼다.
정부합동수사단은 즉시 공개된 자료의 분석에 들어갔으며 그동안의 수사 결과를 종합해 이르면 다음주 초쯤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