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건설 송도사옥 외관모습./사진=머니투데이
포스코건설 송도사옥 외관모습./사진=머니투데이



난 12일 검찰이 비자금 조성 의혹이 제기된 포스코건설을 압수수색했습니다. 이완구 총리가 부정부패 척결을 지시한 11일인 하루 뒤 검찰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대대적인 사정 수사가 시작됐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친MB' 그룹으로 알려진 포스코에 대한 전면 수사에 나서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13일 오전 10시께 인천 송도에 위치한 포스코건설 본사에 수사팀을 파견해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내부 서류 등을 확보했다고 14일 밝혔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통해 비자금의 정확한 규모, 사용처 등을 확인 후 관련자들을 소환 조사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현재까지 드러난 혐의는 베트남 법인의 비자금 조성이다. 포스코건설은 상무급 임원 박모씨 등 2명이 베트남 현지 법인장으로 근무하면서 하도급 업체에 지급할 대금을 부풀리거나 허위 거래를 장부에 계상하는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포스코건설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공사액 1500억원 상당의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 등 10여건의 대형 건설사업을 베트남에서 벌여왔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 4월 내부 감사에서 비자금 조성 정황을 잡고 박씨 등을 보직해임하는 것으로 사건을 봉합했다.

하지만 경찰도 박씨 등 포스코건설 관계자들을 조사 중인 만큼 베트남 법인의 업무상 횡령 정황은 검찰 수사의 표피에 불과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앞서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1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해 빼돌린 혐의로 박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검찰은 경찰 수사와 별개로 베트남 법인이 조성한 비자금이 포스코건설 본사로 흘러들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처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지난해 국세청이 고발한 철강유통업체 포스코P&S의 조세포탈 혐의와 관련된 내용도 갖고 있다. 수사가 포스코그룹 전체로 커지는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그간 포스코는 정권에 따라 최고경영자가 바뀌는 부침을 겪어왔다. 권오준 현 회장(65)에 앞서 7명이 회장직을 맡았지만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퇴임했다.

이러는 사이 포스코는 이명박 정부 시절 인수·합병으로 몸집을 불렸다. 2008년 초 28개에 불과하던 계열사는 2013년 초 63개까지 늘었다. 당시 정권 실세 측근들이 포스코의 문어발식 확장을 부추긴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포스코는 지난 2010년 부채비율이 1600%를 상회하는 플랜트업체 성진지오텍을 1592억원에 사들이며 ‘부실기업 인수’ 논란을 빚기도 했다. 이 부분 역시 검찰 수사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