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기업 악재로 은행들 속은 '숯덩이'
박성필 기자
3,283
공유하기
![]() |
이명박정부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성동구 답십리동 경남기업 사옥 압수수색을 마친 뒤 압수품을 옮기고 있다. /사진제공=서울 뉴스1 송은석 기자 |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동부건설, 대한전선, 모뉴엘 등 3대 부실기업 악재로 은행권에 총 1조원의 손실을 냈던 부실기업 문제가 올해에도 이어지고 있다.
경남기업은 전날 러시아 유전개발 및 아프리카 니켈광산과 관련 비리 혐의로 검찰의 압수수색을 받았다. 앞서 채권단은 경남기업에 수년 간 2조2000억원의 자금을 쏟아 부었다. 하지만 건설경기 침체로 지난 2013년 3109억원, 지난해 1827억원의 연속 적자를 기록하면서 전액 자본잠식에 빠졌고 상장 폐지될 위험에 처했다. 상장 폐지를 막기 위해서는 2300억원이 넘는 추가자금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한전선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채권단은 지난 2012년 자율협약 후 대출 7000억원 출자전환, 5200억원 신규대출에 이어 지난달 1600억원 추가대출 결의 등 모두 1조원이 넘는 금액을 지원했다. 그러나 지난해 말 분식회계 혐의로 채권단에 2000억원 이상의 평가손실을 안겼다. 결국 대부분의 자본이 잠식돼 거래소가 관리종목 지정을 경고했다. 앞으로 부실이 더 늘어나면 상장이 폐지된다.
조선분야도 마찬가지다. SPP조선은 지난 2010년 채권단과의 자율협약에 들어간 후 5년 동안 6000억원가량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경영난이 해결되지 않았고 최근 4850억원의 추가 지원을 요구한 상황이다. 지난 2010년 자율협약에 들어간 성동조선해양도 현재까지 2조원에 달하는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최근 채권단에 4200억원의 추가 지원을 요청했다.
채권은행들은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반응이다. 계속 지원하기 힘들다는 것. 또 이미 자금을 지원한 부실기업들의 상황이 나아지지 않아 채권은행들은 비상이 걸린 상황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