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이야기] 지방은행의 '전국구 공습'
배현정 기자
8,195
공유하기
#1. 광주은행은 지난 3월23일 서울 잠실지점과 논현지점 2곳의 문을 열었다. 면적 165㎡(50평) 이하의 ‘미니 점포’다. 위치도 2·3층이다. ‘넓은 1층 공간’이라는 은행 지점의 개설 공식을 깼다. 지난해 광주은행을 인수한 JB금융지주의 관계자는 “은행 점포에서 찾아오는 고객만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찾아가는’ 공격적 영업을 펼칠 예정이라 굳이 1층의 넓은 점포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고 전했다. 대신 ‘몸집’을 축소해 서울 주요 지점에서 고객과의 접점을 만든다는 전략이다. 광주은행은 3월30일에는 대치동지점과 방배지점도 동시 출격, 총 9개의 점포망을 갖추고 ‘서울 공습’을 본격화했다.
#2. 2%대 대출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안심전환대출’ 취급은행 16곳 중 금리 경쟁력이 가장 돋보이는 곳은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이다. 오는 4월 말까지 실행되는 안심전환대출의 금리는 주택금융공사가 제시한 금리조정형 2.53%, 기본형 2.55%에 은행별로 최대 0.1%포인트를 가산하는 방식. 이에 대부분의 시중은행은 0.1%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덧붙였지만 대구은행은 주택금융공사의 매입금리와 동일하게 각각 2.53%, 2.55%를 적용한다. 부산은행은 10년, 15년, 20년 만기의 경우 가산금리를 추가하지 않고 30년 만기에 한해 0.1%를 가산한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은 기본적으로 은행 수익을 위한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 고객 밀착 강화를 위해 ‘노마진’을 택했다”고 말했다.
저금리에 시중은행이 움츠러든 사이 지방은행의 발걸음은 더 빨라졌다. 가벼운 몸집으로 ‘텃밭’에 얽매이지 않고 영토 확장에 나섰다. ‘더 주고 덜 받는’ 과감한 영업 전략도 눈길을 끈다.
◆'脫지방' 서울·대전 공습… '지역규제' 풀릴 듯
지난해 한식구(JB금융그룹)가 된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탈(脫)지방은행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공략 대상은 각기 다르다. 광주은행은 ‘서울’을 조준했고, 전북은행은 ‘대전’ 공습에 박차를 가한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전북은행의 경우 서울에는 이미 13개의 점포를 갖고 있기에 추가 개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대신 ‘지방은행의 불모지’ 대전 공략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 지역은 지난 1998년 충청은행이 외환위기 여파로 하나은행에 합병되면서 이곳을 텃밭으로 하는 맹주가 없는 상태다. 이러한 무주공산에 전북은행이 앞서 뛰어들었다. 지난 2011년부터 이미 8개의 점포를 냈으며, 올해도 2곳의 점포를 추가로 연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대전은 전북과 인접해 호남 출신 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지역이고 연고지 은행이 없는 만큼 전북은행이 그 역할을 나누기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업계에서는 전북은행의 대전지점 확대를 성공적으로 평가한다. 통상 지방은행의 신규 점포가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하기까지 2년 이상이 걸리지만 전북은행의 대전 점포들은 짧게는 1년, 길게는 1년6개월 사이 흑자전환에 도달했다. 인원을 3~4인 수준으로 한 미니 점포로 경쟁력을 높인 덕분이다.
광주은행은 이러한 전북은행의 미니 점포 모델을 서울 공략에 적극 활용한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광주 지역은 인구가 줄어들고 산업 기반이 취약한 한계가 있는 반면 서울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지역으로 영업 확대에 용이하다”며 “인건비와 월세 등을 줄인 미니 점포로 외형적 성장보다는 2년 이내 흑자전환을 목표로 뛰고 있다”고 밝혔다.
조만간 지방은행의 영업제한 규제가 풀리게 되면 지방은행의 탈지방화는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현재 지방은행은 본점 소재지 해당 시·도와 특별시, 광역시에만 진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경기도의 인터넷 전문은행이 추진되면서 지방은행의 영업 제한 규제 완화가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각 지역별로 영업점이 없어 고객 확보에 제한이 있었다"며 "경기도 진출이 승인되면 사실상 지역 제한 없이 시중은행과 경쟁을 펼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방은행 영토 확장, 리스크는?
최근 지방은행들의 타 지역 공습은 지방 출신 기업가들의 '영토 이전'과 맞물려있다. 지방 중소기업들의 2·3세 경영인들이 고향을 떠나는 일이 잦아지면서 수요 기반이 이동하고 있어서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산업연구실장은 "고향을 떠나온 지방 출신 기업가들이 시중은행과의 거래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지방은행들의 탈 지방화는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방출신 기업가들이 고향의 전답이나 건물 등을 담보로 대출 받으려 할 경우 시중은행보다는 지역 네트워크가 발달한 연고지 지방은행과의 거래가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지방은행 입장에서도 기업들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역 기반이 약해지고 있어 돌파구를 모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서울 등 수도권에서 무분별한 외형 경쟁 대신 리스크 관리를 병행해야 한다는 당부다.
지방은행들은 타 지역에서의 영업점 수 부족 등의 한계를 금리 우대와 비대면 채널 확대 등으로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전북은행의 다이렉트 예금이다. 영업점 방문 없이 오직 온라인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해준다. 전북은행의 다이렉트 수시입출금 예금은 연 1.7%, 예금은 2.2%의 이자를 준다. 다이렉트 예금은 지난 1월 기준으로 가입자 3만명을 넘겼으며 전체 가입금액도 9000억원 이상이다.
부산은행은 초저금리시대임에도 최고 5.2%의 이자를 제공하는 적금을 판매 중이다. 1년 만기 적금인 '생활의 달인 적금'은 지난 3월25일 기준 기본이율 2.1%에 신용카드 실적, 급여 이체, 아파트 관리비 자동납부 등에 따라 우대금리를 최고 3.1% 제공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7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2. 2%대 대출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안심전환대출’ 취급은행 16곳 중 금리 경쟁력이 가장 돋보이는 곳은 대구은행과 부산은행이다. 오는 4월 말까지 실행되는 안심전환대출의 금리는 주택금융공사가 제시한 금리조정형 2.53%, 기본형 2.55%에 은행별로 최대 0.1%포인트를 가산하는 방식. 이에 대부분의 시중은행은 0.1%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덧붙였지만 대구은행은 주택금융공사의 매입금리와 동일하게 각각 2.53%, 2.55%를 적용한다. 부산은행은 10년, 15년, 20년 만기의 경우 가산금리를 추가하지 않고 30년 만기에 한해 0.1%를 가산한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안심전환대출은 기본적으로 은행 수익을 위한 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 고객 밀착 강화를 위해 ‘노마진’을 택했다”고 말했다.
저금리에 시중은행이 움츠러든 사이 지방은행의 발걸음은 더 빨라졌다. 가벼운 몸집으로 ‘텃밭’에 얽매이지 않고 영토 확장에 나섰다. ‘더 주고 덜 받는’ 과감한 영업 전략도 눈길을 끈다.
![]() |
광주은행 잠실지점. /사진=임한별 기자 |
◆'脫지방' 서울·대전 공습… '지역규제' 풀릴 듯
지난해 한식구(JB금융그룹)가 된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탈(脫)지방은행이라는 목표는 같지만 공략 대상은 각기 다르다. 광주은행은 ‘서울’을 조준했고, 전북은행은 ‘대전’ 공습에 박차를 가한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전북은행의 경우 서울에는 이미 13개의 점포를 갖고 있기에 추가 개설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대신 ‘지방은행의 불모지’ 대전 공략에 더욱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전 지역은 지난 1998년 충청은행이 외환위기 여파로 하나은행에 합병되면서 이곳을 텃밭으로 하는 맹주가 없는 상태다. 이러한 무주공산에 전북은행이 앞서 뛰어들었다. 지난 2011년부터 이미 8개의 점포를 냈으며, 올해도 2곳의 점포를 추가로 연다. 전북은행 관계자는 “대전은 전북과 인접해 호남 출신 기업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지역이고 연고지 은행이 없는 만큼 전북은행이 그 역할을 나누기에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실제 업계에서는 전북은행의 대전지점 확대를 성공적으로 평가한다. 통상 지방은행의 신규 점포가 손익분기점(BEP)에 도달하기까지 2년 이상이 걸리지만 전북은행의 대전 점포들은 짧게는 1년, 길게는 1년6개월 사이 흑자전환에 도달했다. 인원을 3~4인 수준으로 한 미니 점포로 경쟁력을 높인 덕분이다.
광주은행은 이러한 전북은행의 미니 점포 모델을 서울 공략에 적극 활용한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광주 지역은 인구가 줄어들고 산업 기반이 취약한 한계가 있는 반면 서울은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지역으로 영업 확대에 용이하다”며 “인건비와 월세 등을 줄인 미니 점포로 외형적 성장보다는 2년 이내 흑자전환을 목표로 뛰고 있다”고 밝혔다.
조만간 지방은행의 영업제한 규제가 풀리게 되면 지방은행의 탈지방화는 급물살을 탈 전망이다. 현재 지방은행은 본점 소재지 해당 시·도와 특별시, 광역시에만 진출이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 경기도의 인터넷 전문은행이 추진되면서 지방은행의 영업 제한 규제 완화가 긍정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각 지역별로 영업점이 없어 고객 확보에 제한이 있었다"며 "경기도 진출이 승인되면 사실상 지역 제한 없이 시중은행과 경쟁을 펼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전북은행 유성지점. /사진제공=전북은행 |
◆지방은행 영토 확장, 리스크는?
최근 지방은행들의 타 지역 공습은 지방 출신 기업가들의 '영토 이전'과 맞물려있다. 지방 중소기업들의 2·3세 경영인들이 고향을 떠나는 일이 잦아지면서 수요 기반이 이동하고 있어서다. 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산업연구실장은 "고향을 떠나온 지방 출신 기업가들이 시중은행과의 거래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지방은행들의 탈 지방화는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방출신 기업가들이 고향의 전답이나 건물 등을 담보로 대출 받으려 할 경우 시중은행보다는 지역 네트워크가 발달한 연고지 지방은행과의 거래가 용이하다는 설명이다. 지방은행 입장에서도 기업들의 수도권 편중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역 기반이 약해지고 있어 돌파구를 모색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서울 등 수도권에서 무분별한 외형 경쟁 대신 리스크 관리를 병행해야 한다는 당부다.
지방은행들은 타 지역에서의 영업점 수 부족 등의 한계를 금리 우대와 비대면 채널 확대 등으로 극복한다는 방침이다. 대표적인 성공 사례는 전북은행의 다이렉트 예금이다. 영업점 방문 없이 오직 온라인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높은 금리를 보장해준다. 전북은행의 다이렉트 수시입출금 예금은 연 1.7%, 예금은 2.2%의 이자를 준다. 다이렉트 예금은 지난 1월 기준으로 가입자 3만명을 넘겼으며 전체 가입금액도 9000억원 이상이다.
부산은행은 초저금리시대임에도 최고 5.2%의 이자를 제공하는 적금을 판매 중이다. 1년 만기 적금인 '생활의 달인 적금'은 지난 3월25일 기준 기본이율 2.1%에 신용카드 실적, 급여 이체, 아파트 관리비 자동납부 등에 따라 우대금리를 최고 3.1% 제공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77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