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먹고 잘 내보내야…"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도움"
강인귀 기자
4,612
2015.04.14 | 19:22:00
공유하기
잘 먹는 것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배변활동이다. 그런데 최근 몇 년간 변비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변비 환자는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27%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특히 아동과 고령층의 변비 문제는 더욱 심각했다.
2012년 기준, 변비로 인한 전체 진료 인원 61만 8586명 가운데 9세 이하의 아동 진료인원은 17만 2187명(27.8%), 70세 이상의 고령층 진료인원은 15만 2659명(24.7%)의 점유율을 보여 전체 진료 인원 중 52.5%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칫 간과하기 쉽지만 변비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심각한 대장질환으로까지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개선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 활동이 완전히 자리잡지 못한 영유아들이나 장 활동이 둔화된 고령층의 경우에 변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소아 변비의 대부분은 특정 질환이 동반되지 않은 기능성 변비이므로 아이가 화장실 가기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수분 섭취량을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령층의 경우, 체내 수분량 부족을 장 내 음식물로부터 보충하게 되면서 수분이 부족해진 변이 딱딱해져 변비가 생기게 됨을 고려해야한다.
이처럼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채, 과일로 구성된 건강한 식습관 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을 섭취해 장 내 유산균들의 활동을 촉진하여 장 기능 자체를 강화시키는 것 역시 한가지 방법이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의 서재구 박사는 “변비의 원인은 나이에 따라 제 각각이지만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더불어 장 내 세균총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지속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며 “특히 듀얼(이중)코팅 유산균은 유산균이 체내에 들어가 위산, 담즙산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장까지 안전하게 도달,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이미지제공=쎌바이오텍>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변비 환자는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27%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특히 아동과 고령층의 변비 문제는 더욱 심각했다.
2012년 기준, 변비로 인한 전체 진료 인원 61만 8586명 가운데 9세 이하의 아동 진료인원은 17만 2187명(27.8%), 70세 이상의 고령층 진료인원은 15만 2659명(24.7%)의 점유율을 보여 전체 진료 인원 중 52.5%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칫 간과하기 쉽지만 변비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심각한 대장질환으로까지 번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개선과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장 활동이 완전히 자리잡지 못한 영유아들이나 장 활동이 둔화된 고령층의 경우에 변비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때 소아 변비의 대부분은 특정 질환이 동반되지 않은 기능성 변비이므로 아이가 화장실 가기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수분 섭취량을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령층의 경우, 체내 수분량 부족을 장 내 음식물로부터 보충하게 되면서 수분이 부족해진 변이 딱딱해져 변비가 생기게 됨을 고려해야한다.
이처럼 연령대를 가리지 않고 찾아오는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채, 과일로 구성된 건강한 식습관 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와 더불어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 제품을 섭취해 장 내 유산균들의 활동을 촉진하여 장 기능 자체를 강화시키는 것 역시 한가지 방법이다.
㈜쎌바이오텍 세포공학연구소의 서재구 박사는 “변비의 원인은 나이에 따라 제 각각이지만 규칙적인 생활습관과 더불어 장 내 세균총의 균형을 잡아줄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을 지속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며 “특히 듀얼(이중)코팅 유산균은 유산균이 체내에 들어가 위산, 담즙산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장까지 안전하게 도달,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