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머니투데이 DB
사진=머니투데이 DB

SK C&C와 SK㈜가 오너 부재 속에서 전격 합병을 결의한 가운데 SK그룹 오너인 최태원 회장의 가석방에 관심이 모아진다.

20일 SK그룹에 따르면 SK C&C와 SK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양사의 합병을 결의했다. 합병비율은 SK C&C와 SK 각각 약 1대 0.74다. SK C&C가 신주를 발행해 SK의 주식과 교환하는 흡수 합병 방식이다.

합병회사의 사명은 SK 브랜드의 상징성 및 그룹 정체성 유지 차원에서 SK주식회사로 결정했다. 합병은 오는 6월26일 주주총회를 거쳐 8월1일 마무리된다.

눈여겨 볼 점은 양사의 이번 합병이 총수의 부재 속에 이뤄졌다는 점이다. 재계에선 그동안 오너 부재 속 합병은 힘들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재계의 관심은 자연스럽게 최 회장의 가석방에 쏠린다.

불행인지, 다행인지 현재로선 정부가 재계 수장의 가석방을 논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검찰이 '부패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래 오히려 SK그룹은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성완종 파문'으로 검찰수사가 재계를 더욱 옥죌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SK계열사가 비리종합선물세트로 수차례 이름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이번 검찰수사에서 SK계열사의 비리혐의가 포착되면 최태원 회장의 입장은 더욱 난처해진다.

박근혜 대통령은 성완종 리스트가 공개된 이후에도 '성역없는 수사'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특별수사팀도 꾸린 상태다. 검찰 관계자는 "부패척결 수사는 검찰의 존립 근거"라며 "중앙지검에서 진행 중인 다른 부패수사에 대해선 흔들림없이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SK그룹은 최근 SK이노베이션과 SK C&C, SK네트웍스, SK텔레콤, SK건설 등 주요 계열사의 각종 비리 의혹에 시달리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해외 자원개발 사업과 관련 성공불융자금 상환과정에서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 성공불융자란 정부가 투자 위험이 높은 사업에 나랏돈을 빌려준 뒤 실패하면 갚을 돈을 깎아주고 성공하면 상환금을 더 받는 제도다.

감사원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지난 2000년 브라질의 3개 유전 광구를 매입하며 정부로부터 성공불융자로 약 7700만 달러를 지원받았다. 이후 SK이노베이션은 투자 10여년만인 지난 2010년에 브라질 광구 지분을 덴마크 기업에 모두 매각하고 24억달러(약 2조5400억원)를 받았다.

감사원은 SK이노베이션이 정부에 성공불융자 상황금으로 약 6억5800만달러를 상황해야 하지만 1억2900만달러를 감면받고 나머지 5억2900만달러만 상환했다고 밝혔다. 감사원은 SK이노베이션이 상환액을 감면받은 과정에서 지경부 간부들에게 로비를 벌였다는 정확을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번에 합병을 결의한 SK C&C는 방산비리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공군 전자전 훈련장비(EWTS) 도입 비리에 SK C&C가 깊이 연루된 것으로 보고 있다. SK C&C는 EWTS 도입사업 협력업체로 참여해 다시 일광공영 자회사인 솔브레인에 재하청을 주는 식으로 업무를 처리했고 이 과정에서 사업비를 500억원가량 부풀린 혐의를 받고 있다. 

SK C&C에서 이 사업을 책임진 인물은 예비역 준장인 권 전 상무다. 권 전 상무는 전역 후 SK C&C에 취업해 EWTS 관련 사업을 담당했고 이후 자진 퇴사했다.

SK건설에 대해서도 검찰수사가 진행 중이다. 검찰은 4대강 사업 등 새만금 방수제 건설공사 담합과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과징금만 부과 받은 것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특히 검찰은 SK건설에 대해 사상 처음으로 공정위에 고발요청권까지 발동한 상태다. 고발요청권은 공정위의 고발이 있어야만 검찰이 기소할 수 있는 제도다.

이밖에 SK텔레콤의 합병정보 사전유출 등의 혐의에 대해서도 사정기관이 조사에 나선 상황이다.

이처럼 SK그룹의 핵심 계열사 대부분이 비리혐의 의혹에 시달리면서 최 회장의 조기석방을 논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재계 관계자는 "오너 부재 속에서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사실이지만 여러 정황상 최 회장의 가석방 또는 사면이 성사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