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환자, 10대 남자가 50% 넘어…주요 증상 '부주의'·'과잉행동'·'충동성
강인귀 기자
5,784
공유하기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환자의 절반이상은 10대 남자인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통상 유아기에 발병해 만성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에 조기에 발견해 치료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실인원은 2009년 5만1000명에서 2013년 5만8000명으로 약 6200명(12.06%)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감률은 2.89%를 보였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09년~2013년까지 5년간 10대 진료실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에는 전체 환자 중 10대 환자가 3만8307명으로 65.9%를 점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DHD’의 인구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08배 (107명→116명, 연평균 증가율 2.17%) 증가하였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인구 10만명당 10대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28배(501명→640명, 연평균 증가율 6.3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보면 2013년에 남성이 4만6580명으로 여성 1만1541명에 비해 약 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ADHD 진료실인원 중 80.14%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3년 기준으로 ‘ADHD’ 실진료환자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10대 남자가 3만556명으로 52.57%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0대 미만 남자가 23.73%(1만795명), 20대 남자가 2.80%(1625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을 분석해본 결과, 연평균 증감률은 10.58%이고 2009년 대비 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49.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의 주요 증상은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3가지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2009년~2013년까지 5년간 10대 진료실인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에는 전체 환자 중 10대 환자가 3만8307명으로 65.9%를 점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DHD’의 인구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08배 (107명→116명, 연평균 증가율 2.17%) 증가하였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인구 10만명당 10대 실진료환자수는 2009년 대비 2013년 1.28배(501명→640명, 연평균 증가율 6.3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ADHD’ 2013년 연령 및 성별 실진료환자수 현황 |
성별로 보면 2013년에 남성이 4만6580명으로 여성 1만1541명에 비해 약 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ADHD 진료실인원 중 80.14%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3년 기준으로 ‘ADHD’ 실진료환자수의 구성을 살펴보면, 10대 남자가 3만556명으로 52.57%를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10대 미만 남자가 23.73%(1만795명), 20대 남자가 2.80%(1625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ADHD)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을 분석해본 결과, 연평균 증감률은 10.58%이고 2009년 대비 2013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49.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ADHD의 주요 증상은 '부주의', '과잉행동', '충동성' 3가지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