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균 치사율, 호흡기 탄저병에 걸리면 '97%'
박세령 기자
8,420
공유하기
![]() |
'탄저균' '탄저균 배달사고' '오산 탄저균' '탄저균 주한' /자료=CNN 뉴스 캡처 |
'탄저균' 탄저균 배달사고' '오산 탄저균' '탄저균 주한'
미군 시설에 보관 중이던 살아있는 탄저균이 오산 주한 미군기지에 배송됐으나 절차에 따라 처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주한미군사령부는 28일 보도자료를 통해 "유해물질관리팀이 해당 표본을 질병통제센터 규정에 따라 폐기했다"고 밝혔다.
한편 생화학 무기로 사용되는 '탄저균'으로 인한 탄저병은 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탄저병의 95%는 오염된 양털, 가죽, 털제품을 취급하던 중 상처난 피부를 통해 감염되는 피부 탄저병이다. 감염된 부위는 1~2일이 지나면 벌레에 물린 것처럼 가려운 조그마한 혹이 생겼다가 1~3cm 정도의 통증없는 궤양이 생기며 궤양의 중앙에는 특징적인 까만 죽은 부위가 나타난다.
호흡기 탄저병은 초기에 감기 같은 증상을 보이다가 몇일이 지난 뒤 병이 진행돼 호흡이 곤란해지고 쇼크에 빠진다. 장 탄저병은 장에 급성 염증이 생겨, 속이 울렁거리고 입맛이 사라지며 구토, 발열 증상이 나타난다. 진행되면 복통이 생기고 혈성 구토, 심한 설사를 동반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피부 탄저병의 치사율은 항생제로 치료할 경우 1%이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20%이다. 호흡기 탄저병의 치사율은 항생제로 치료할 경우 75%이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97%에 이른다. 장 탄저병은 항생제로 치료하지 않을 경우 25%~60%의 치사율을 보인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